|
6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대국민 사과문을 지켜본 재계 안팎의 반응이다. 단어 하나하나 의미를 담아 힘주어 말하는 모습에서 진정성이 느껴지고, 총수가 자발적으로 국민 앞에 나서 고개를 숙이는 과감한 결단이 앞으로의 새로운 삼성을 여는 변곡점이라는 평가다.
재계 관계자들은 “자녀에게 경영권을 물려주지 않겠다는 밝힌 것은 권리를 포기한다기보다는 삼성의 도약을 위한 새로운 선택임을 강조한 것”이라면서 “준법감시위 권고에 대한 답변이 아니라 시대적 요구에 대한 대답이고 비전”이라고 평가했다.
김익성 동덕여대 경영학과 교수는 “글로벌 기업인 삼성의 최고 경영자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대국민 사과를 한 것은 긍정적으로 보인다”면서 “글로벌 체제 안에서 노조의 필요성이나 경영 승계 방식에 대해 정당성 필요를 본인 스스로 공감한 듯하다”고 전했다.
재계에서는 잘못을 인정하고 직접 국민 앞에 나서 고개를 숙이는 이 부회장의 모습에 큰 의미를 부여했다. 앞으로의 삼성을 이끌어갈 ‘이재용 시대’를 맞는 변곡점이자 미래지향적인 삼성의 모습을 엿볼 수 있었다는 평이다.
한 재계 관계자는 “진정성 있는 총수의 반성으로 새로운 삼성을 열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이번 일을 계기로 이후의 삼성은 새로운 미래를 열어 갈 것”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대국민 사과에서 두 가지 핵심 문제였던 무노조 경영폐지와 경영권 승계와 관련해 비전 있는 전략이 없는 점은 아쉬운 부분이다.
안진걸 민생경제연구소소장은 “준법경영·윤리경영 등은 환영하지만 이재용 부회장의 사과문에는 국민들이 원하는 두 가지 핵심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방안이 빠져 있다”면서 “무리한 경영권 승계 과정에서 드러난 국민연금의 거액 손실에 대한 책임과 피해보상이라든지 지금도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고공 농성 중인 김용희씨에 대한 문제 해결 방법이 내용에 담겨 있지 않아 아쉬운 부분”이라고 밝혔다.
이지우 참여연대 간사는 “과거 이건희 회장 때도 사과를 했지만 지켜지지 않았다”면서 “문제는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 과정에서 찬성을 했던 이사회 4명이 그대로 유지돼 있는데, 이들의 해임 없이 삼성의 쇄신을 말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날 이재용 부회장은 대국민 사과를 통해 경영권 승계 의혹과 관련한 사과는 물론 “자식에게 경영권을 물려주지 않을 것”을 전격적으로 발표한 데 이어 ‘무노조 경영’ 포기를 표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