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대세론' 거센 견제심리 작동
정세균 현직 국무총리 등 민주당 잠룡들
당내 실제 후보 경선 등 변수들 적잖아
|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16일 오후 이 지사에 대한 상고심을 열고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공표 혐의로 벌금 300만 원을 선고한 원심을 뒤집고 사건을 수원고등법원으로 돌려보냈다. 무죄 취지의 파기 환송이다.
몸을 잔뜩 웅크려왔던 이 지사가 본격 기지개를 켜면서 8·29 전당대회 당권에 도전하고 있는 유력 대권 주자인 이 의원을 무섭게 위협하고 있다. 사법부가 사실상 이 지사에게 ‘면죄부’를 주면서 향후 대선 가도에 장애물이 걷혔다.
정치권에서는 집권 여당인 민주당의 대권 구도가 일단 ‘이낙연 의원 vs 이재명 지사’로 재편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다만 2022년 3·9 대선까지는 아직도 20여 개월이 남아 있는 상황이고, 현재 정세균 국무총리 등 여권 잠룡들이 적지 않아 실제 당 경선에서는 대권 구도가 어떻게 재편될지는 좀더 지켜봐야 한다고 전문가들이 관측했다.
지난 8일 여론조사 기관 한길리서치가 ‘쿠키뉴스’ 의뢰로 실시한 차기 대선후보 지지도 조사에 따르면, 범여권에서 이 의원은 28.8%, 이 지사는 20%였다. 이 지사가 이 의원을 한 자릿수 격차로 맹추격하고 있는 것으로 나왔다. 이 지사는 지난 14일 리얼미터가 발표한 15개 시·도 지사 직무수행 평가에서도 71.2%의 긍정평가를 받으며 첫 1위에 올랐다.
|
또 경북 출신인 이 지사를 중심으로 한 ‘영남 후보론’이 대두될 가능성도 나온다. 여권 내 대표 영남 출신 주자로 고(故) 박원순 서울시장, 김부겸 전 의원, 김경수 경남도지사 등이 거론돼 왔지만 김 전 의원은 당 대표 당선 때 대권 불출마 의사를 보였고, 김 지사는 재판을 받고 있어 리스크가 안고 있다. 호남 출신인 이 의원은 ‘표 확장성’ 면이 다소 취약하다는 평가다.
이 같은 분위기 속에 이 지사의 판결이 8·29 전대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민주당의 당 대표 선거에 이 의원과 김 전 의원이 출마하는데 ‘이낙연 대세론’이 형성된 상황에서 장외주자들의 견제심리가 거셀 것으로 보여 주목된다. ‘이재명계’로 꼽히는 의원들이 김 전 의원을 도울 것이란 전망도 이 같은 분석에 힘을 더하고 있다.
김미현 알앤써치 소장은 이날 아시아투데이와의 통화에서 “이 지사가 대법원의 (무죄 취지) 파기환송 판결로 대권 주자로서 우뚝 서게 됐다”고 평가했다. 김 소장은 “이 지사가 코로나19 사태 이후에 보여준 (신천지 시설에 대한 강제 역학조사 등의 정책) 추진력과 돌파력에 대해 국민들이 다시 보기 시작했다”며 “(유력 잠룡인) 이 의원의 지지율을 비틀며 (대권 가도를) 위협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김 소장은 “코로나19 사태에서 가장 두각을 나타낸 이 지사가 진보 진영과 중도 보수에게 모두 많은 점수를 받고 있다”고 진단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