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에 따라, 통합 지휘는 안전총괄과가 맡으며 현장 지원 관리는 죽산면사무소에 설치된 죽산지휘본부에서, 이재민 관리는 복지정책과에서, 공무원과 민간 인력 지원과 이재민에 대한 급식, 간식 지원 등 후생 복지는 행정과가 각각 전담한다.
5일 현재, 안성시의 이재민은 153가구, 258명이 발생했으며, 공공시설 234곳, 사유시설 160곳 등 재산피해는 394건으로 집계됐다.
폭우로 일부 축산농가에서도 피해가 발생했다. 산사태로 닭 2만3000마리와 돼지 8만8000마리가 피해를 입었다. 시는 이들 농가에 대해 가축은 시세의 95%, 축사는 100%를 보상할 계획이다.
자원봉사자 258명, 공무원 39명, 군인 30명 등 328명이 피해현장 곳곳에서 토사 처리나 침수 주택 청소 등으로 구슬땀을 흘렸다. 지난달 31일 집중 호우부터 5일까지 응급복구를 위해 총 1446명의 인력이 지원됐다.
시 관계자는 “최선의 노력으로 피해를 최소화하고 복구를 앞당길 수 있다”며 “체계적인 지원과 효율적인 복구로 이재민들의 시름을 덜어드릴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