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수처는 이날 “이른바 ‘고발사주’의혹의 실체 규명을 위해 관련자를 입건하고 10일 수사에 착수했다”며 “수사대상은 손준성 대구고검 인권보호관(전 대검 수사정보정책관)등으로 현재 수사대상자들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공수처 수사3부(최석규 부장검사)는 10일 오전 9시30분부터 사건의 핵심 당사자로 지목된 김웅 국민의힘 의원실과 손 전 정책관의 사무실과 자택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하고 있다. 고발 사주 의혹이 불거진 지 8일 만에 공수처가 직접수사에 나선 것이다.
앞서 지난 2일 신생 인터넷매체 뉴스버스는 지난해 4월 총선을 앞두고 검찰이 제1야당이었던 미래통합당(국민의힘 전신) 측에 범여권 정치인들에 대한 형사 고발을 사주한 사실이 확인됐다며 의혹을 제기했다.
검찰이 지난해 4·15 총선을 앞두고 당시 제1야당이었던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 측에 범여권 정치인들에 대한 형사 고발을 사주했다는 내용이다. 고발장에 적힌 대상자는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과 최강욱 열린민주당 대표 등이었다.
해당 매체에 따르면 손 전 정책관은 지난해 4월 초 국회의원 후보자 신분이었던 김 의원에게 고발장을 전달했다.
의혹과 관련해 손 검사는 현재 “전혀 사실이 아니다”는 입장을, 김 의원은 “기억이 나지 않는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앞서 시민단체 사법정의바로세우기시민행동(사세행)은 지난 6일 공수처에 윤 전 총장, 한동훈 전 대검 반부패강력부장, 손 전 정책관, 권모 전 대검 대변인을 고발했다.
공수처는 고발장 접수 이틀만인 지난 8일 김한메 사세행 대표를 불러 고발인 조사를 진행했고, 이로부터 또다시 이틀만인 이날 오전 전격 압수수색에 나서며 수사 착수를 공식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