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회복 1단계인 11월에 유흥업소를 제외한 모든 업종의 영업시간 제한이 없어지고 사적 모임도 10명까지로 확대된다. 사실상 방역조치 해제인데 전문가들은 하루 5000명, 1만명, 심지어 2만명의 확진자가 나올 수 있음을 경고한다. 이렇게 되면 위드 코로나는 일시 중단되고, 다시 영업이 제한돼야 하는데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이 최악의 상황에 직면한다.
기대와 달리 코로나 사태가 오래 갈 것으로 보여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지원을 강화하는 게 중요하다. 마침 한 대선 후보가 국민 1인당 100만원의 재난지원금 얘기를 꺼냈는데 전 국민보다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을 집중 지원하는 게 바람직하다. 그동안 정부가 수차례 지원했음에도 아예 지원금을 받지 못한 곳이 많고, 피해에 비해 액수가 적어 불만이 크다.
정부의 세수도 마찬가지다. 올 1월~9월에 부동산 폭등에 따른 양도세 증가와 대기업 영업 호조에 힘입어 국세가 무려 41조원이 더 걷힐 전망인데 이 돈을 전 국민 지원금 등으로 소진할 게 아니라 취약계층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생각이 중요한데 대선이 코앞이라 전 국민 지원금으로 흐를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은행도 금융 취약계층 지원에 동참해야 한다. 5대 금융그룹이 올해 이자로 31조원을 벌었는데 작년보다 최고 31.1%나 급증했다. 코로나 시국에 은행이 이자로 이렇게 큰돈을 번다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 금리가 0.5%포인트 오르면 자영업자 이자 부담이 3조원 증가한다고 한다. 확진자를 줄이면서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고통을 덜어주는 게 진정한 일상회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