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룸버그 통신은 3일(현지시간) "전기차(EV)에서 AI로 시장이 뒤집히면서 엔비디아가 테슬라의 후계자(Successor)가 되고 있다"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이 같이 경고했다.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지난해 4분기 실적이 발표된 이후 주가가 연일 상승세를 이어가며 전체 시황을 이끌고 있지만, 테슬라처럼 주가 급등기 이후 큰 폭의 하락장을 맞을 수 있다는 것이다.
블룸버그는 "엔비디아의 놀라운 상승세가 S&P 500 지수를 사상 최고치로 끌어올리고 있다"며 "하지만 얼마 전까지 기술 혁신의 꿈으로 치솟았다가 희망이 실망으로 바뀌면서 땅으로 굴러떨어진 또 다른 투자자들의 애정주(investor darling)를 떠올리게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블룸버그는 테슬라가 2017년 투자자들에게 전기차가 세계를 장악할 것이란 기대를 품게 하며 일부 애널리스트들 사이에서 '제2의 애플'로 불렸던 것을 상기시켰다. 그러면서 지금의 주가 흐름이 큰 폭의 하락을 시작하기 직전 최고점에 올랐던 2021년 상황과 유사하다는 것을 엔비디아가 '제2의 테슬라'가 될 수도 있다는 경고의 근거로 들었다.
블룸버그는 "그(전기차 전성시대가 올 것이라고 생각했던) 시절은 이제 백미러 속에 있다"며 "현재 테슬라 주가는 2021년 최고점 대비 50% 넘게 떨어진 상태"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 모든 것이 엔비디아를 AI의 미래에 대한 무한한 베팅으로 보는 투자자들에게 냉철하게 받아들여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AMD, 마이크로소프트(MS)와 같은 강력한 후발주자들의 존재도 엔비디아의 미래를 마냥 장밋빛으로만 볼 수 없게 하는 요인으로 꼽혔다. 블룸버그는 "엔비디아가 AI 모델에 사용되는 그래픽 칩 분야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지만, AMD 같은 경쟁업체들도 시장 점유율을 늘리려 열을 올리고 있으며 MS 같은 엔비디아의 고객사들조차도 자체 칩 개발에 나서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