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제 접종은 도내 전체 소·염소 농가로 1만 2000여 농가 38만 8000여 마리를 대상으로 실시하며, 효과적인 백신접종을 위해 소 100마리, 염소 300마리 이상 사육 농가는 3월 22일까지 9일간 내 농가 자가접종을 완료하도록 하고, 그 외 농가는 공수의사 등 접종지원반을 동원해 3월 31일까지 실시하기로 했다.
도는 그동안 소 50마리 미만, 염소 300마리 미만 소규모 농가에 접종 지원을 해왔으며, 정확한 백신접종 및 농가의 백신접종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올해부터는 자체 사업비 10억 8000만원을 추가로 확보해 50마리 이상 100마리 미만 소 농가에도 대상을 확대해 접종을 지원한다.
백신 접종을 완료한 농가는 구입한 백신을 개체별로 접종 사실을 반드시 관할 시군 또는 지역 축협에 신고하고, 시군에서는 축산물 이력관리시스템에 접종 정보가 올바르게 입력되었는지 확인해야 한다.
또 등록된 정보를 토대로 임신 말기 등의 사유로 백신접종을 유예한 개체에 대해서는 추가 접종 등 백신접종이 누락 된 개체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해 나갈 예정이다.
아울러, 구제역 일제 접종이 완료된 이후에는 올바른 백신접종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접종 4주 이후 무작위로 농가와 개체를 선정해 항체양성률 기준치에 미달한 농가에 대해서는 최대 천만 원의 과태료를 부과하고 재접종을 추진한다.
올해부터 농가 백신접종률을 향상하기 위해 공수의별 백신접종실태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정창근 도 동물방역과장은 "2023년 충북에서 구제역이 발생한 이후 2년 만에 구제역이 발생함에 따라, 백신접종을 소홀 하면 언제든지 도내 발생 위험이 있다"라며 "축산농가의 빠짐없는 구제역 백신 접종을 해 줄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