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7일 국회 소통관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날 안 의원은 혁신위원장 사퇴 의사를 밝히고 당대표 선거 출마를 선언했다. /송의주 기자 |
안 의원은 7일 국회 기자회견에서 "합의되지 않은 날치기 혁신위원회를 거부한다"며 "전당대회에 출마해 국민의힘 혁신 당대표가 되기 위해 도전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가 안 의원을 위원장으로 하는 6인의 혁신위 인선안을 의결한 지 불과 30분 만에 사퇴라는 뜻밖의 카드를 들고나왔다.
안 의원이 전격 사퇴를 결심한 이유로 크게 두 가지가 꼽힌다. 첫째는 송언석 비대위원장 겸 원내대표가 자신이 제안한 당 인적쇄신안을 거부했다는 것이다. 구체적인 인적청산 대상의 이름과 방법은 언급하지 않았다. 다만 권영세 전 비대위원장과 권성동 전 원내대표 등 대선 당시 당 지도부 인사들의 출당 또는 자진 탈당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둘째로 안 의원은 이날 비대위가 자신과 협의가 완료되지 않은 혁신위원 일부를 일방적으로 발표했다고 주장했다. 지도부가 발표한 혁신위원 5명 가운데 최소한 원외인사 1명은 본인이 합의해준 적이 없다는 것이다. 안 의원실 관계자는 "최형두 의원, 송경택 서울시의원, 김효은 전 교육부 장관 정책보좌관까지만 합의됐고, (호준석 대변인, 이재성 여의도연구원 부원장 등) 나머지는 굉장히 왔다 갔다 했다"고 밝혔다. 안 의원은 당에 쓴소리를 해온 수도권 원외 당협위원장 등을 혁신위에 참여시키려 했지만 비대위 반대에 부딪혀 무산된 것으로 전해진다.
이유가 어찌 됐든 김용태 전 비대위원장이 추진했던 5대 개혁안이 당내 갈등 탓에 수포로 돌아간 데 이어 '안철수 혁신위'까지 좌초한 것은 매우 안타까운 일이다. 영남 친윤계로 분류되는 송 비대위원장이 이들 수도권 개혁파 의원들과 잇따라 충돌하면서 친윤 지도부의 한계를 여실히 드러냈다는 지적이 나온다. 소위 양권(兩權)으로 불리는 권영세-권성동 라인을 비롯한 친윤계가 2선으로 후퇴하지 않는 한 당 개혁은 요원할 것이라는 얘기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혁신위 구성을 원점에서 재검토할 것이라고 한다. 혁신위원장을 재지명하는 것은 물론 이날 임명된 혁신위원들도 새 혁신위원장과 협의해 대거 물갈이할 것으로 보인다. 애초 혁신위는 6·3대선 패배의 후유증을 딛고 내년 지방선거, 2028년 총선에서 승리하기 위한 기초를 다지는 당 개혁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출범했다. 누가 새로 혁신위원장을 맡든 이 같은 초심을 잃지 말고 당 쇄신작업에 매진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