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당 최대 2억 5700만원 상당의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정책 시행 등 효과 나타나
|
13일 청도군에따르면 군은 고령화율 45%, 지방소멸위험지수 0.097로 소멸 고위험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지난달 6월 기준 출생아 수가 전년 대비 20.9%(9명) 증가했다.
군은 저출생 극복을 위해 1인당 최대 2억 5700만원 상당의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정책을 시행하는 등 인구감소위기 전략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군은 신혼부부부터 임신·출산, 영아, 학생, 청년에 이르기까지 5개 단계별로 실질적이고 체감 가능한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 정책을 추진해 군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동시에 인구 유입과 정착을 유도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가고 있다.
특히 신혼부부 주거자금 지원에 2000만원, 임신과 출산장려금에 7100만원, 영아 5200만원, 초·중·고등학생 1100만원, 대학생·청년에 1억 300만원 등 5개분야 총 2억 5700만원을 지원한다.
군은 생애주기별 지원정책 외에도 2025년 행정안전부 고향올래 사업에 선정돼 14억원의 사업비를, 경북도 주관 1시군 1생활인구 특화 프로젝트, 소규모마을 활성화사업 등 인구활력 공모사업 3개 분야에서 13억 1400만원을 확보해 지방소멸대응기금사업과의 연계를 통해 생활인구의 지역 정착을 유도하고 있다.
또 유입된 생활인구의 정주인프라 제공을 위해 지역활력타운 50호, 행복주택 42호, 매입임대주택 44호 및 만원주택 10호, 총 146호의 주택을 공급한다.
이 외에도 민간 주도의 청도형 자생 돌봄공동체를 2개소에서 8개소로 확대 운영 하는 등 다양한 지원 정책을 통해 아이 낳고 아이 키우기 좋은 I 희망 청도 만들기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김하수 군수는 "청도군의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 정책은 군민들의 삶을 지속적으로 배려하고 그들의 성장과 안정을 끝까지 책임지는 중요한 정책"이라며 "청도에서 태어나고 자라는 모든 사람들이 꿈을 펼칠 수 있도록 전폭적 지원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