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 경기도에 따르면 이 사업은 경기침체와 인구감소로 활력을 잃은 농어촌 지역의 경기회복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추진하는 것으로, 축제 개최를 지원하는 농어촌 활성화 분야와 체험활동비를 지원하는 분야로 나뉜다.
농어촌 활성화 분야 지원 대상은 도농교류법에 따라 지정된 농어촌체험휴양마을이며, 체험활동비 지원 분야는 해당 사업에 참여하지 않는 체험휴양마을이나 국가(도·시군)으로부터 인증 또는 지정 받은 체험농장이 해당된다.
농어촌 활성화 분야는 신청 마을 16곳을 대상으로 오는 24일 수원시 권선구 경기상상캠퍼스에서 오디션 방식의 발표 심사를 진행해 최종 10개 마을을 선정한다. 발표 심사에서는 사업계획의 구체성과 창의성, 조직 역량, 파급효과 등을 종합 평가한다. 선정된 10개 마을에는 순위에 따라 최대 5500만원까지 지원되며, 축제 개최 비용과 체험활동비를 통합해 사용할 수 있다.
체험활동비 지원 분야는 각 시군의 자체평가를 통해 우선순위를 정해 차등 지원한다. 체험객 1인당 최대 1만원 범위 내에서 최대 50%까지 할인 지원된다.
경기도는 이번 사업을 통해 농어촌 관계인구 유입을 촉진하고 지역관광을 활성화해 농어촌 소득 증대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이번 호우로 피해를 입은 지역의 조기 회복과 지역경제 회생을 위해 도시민들의 적극적인 체험휴양마을 이용을 당부했다.
이문무 도 농업정책과장은 "소비심리 위축과 물가상승으로 침체된 농어촌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이번 사업이 꼭 필요하다"며 "특히 오디션 방식은 마을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반영해 실질적인 경제효과를 거둘 수 있는 마을을 선정하는 자리인 만큼 많은 관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