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통령실은 인수위 없이 출범한 정부 초기 일부 혼란이 불가피하다고 하면서도 전날인 22일까지 "인사 검증 시스템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대통령은 보좌관 갑질 논란에 이어 예산 논란, 교수시절 강의 무단결근 등 의혹 등이 줄줄이 제기된 강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경과보고서를 24일까지 보내달라고 국회에 요청하며 임명 강행 의지를 보이기도 했다.
결국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임명 철회에 이어 강 후보자가 현역 의원으로는 최초로 낙마하며 인사검증 시스템 재정비에 나설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
대통령실은 이날 강 후보자 사퇴 소식을 전하며 "국민 눈높이에 맞는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를 조속히 찾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 후보자에 이어 강 후보자까지 낙마한 점을 감안하면 신속한 후보자 인선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역대 최초의 현역의원 낙마 사례가 나옴에 따라 기존 인사검증 항목이 더 촘촘해질 가능성이 높아졌고, 이에 따라 인재풀 자체가 좁아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다만 그간 논란이 돼 사퇴하거나 지명이 철회된 장관 후보자와 대통령실 인사들의 낙마 사유들을 살펴보면 대통령실이 사전에 충분히 인지하고 거를 수 있었던 내용들이 많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부동산 차명 관리 논란으로 임명 5일 만에 물러난 오광수 전 민정수석을 비롯해 논문 표절, 자녀 불법 유학 논란의 이진숙 전 교육부 장관 후보자, 계엄을 옹호하는 내용의 책을 낸 강준욱 전 국민통합비서관 등이 그렇다.
문재인 전 대통령 비하 발언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최동석 신임 인사혁신처장 역시 유튜브나 공개 석상에서의 발언이 대부분으로, 사전 인지가 가능했던 부분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시스템으로 사전 차단이 가능했지만 대통령실이 '능력', '통합', '여성 비율' 등을 명분으로 오히려 국민 정서에 맞지 않는 면모에 눈을 감은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대목이다.
여당 내에서는 이날 강 후보자 사퇴로 이 대통령 리더십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실제 지난 21일 발표된 이 대통령의 지지율이 취임 이후 처음으로 소폭 떨어진 것에 대해 강 후보자 논란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제기되기도 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강 후보자 사퇴 표명 직후 브리핑을 통해 "인사 검증 절차를 꼼꼼히 그리고 엄밀히 진행하고 있지만 좀 더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국민 눈높이에 맞는 후보를 찾기 위해서 좀 더 철저한 노력을 해야 되지 않나, 좀 더 살펴볼 부분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국민 여론과 함께 좀 더 신중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절차에 조속함과 함께 엄정함을 좀 더 갖추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 대통령은 오는 25일 안규백 국방부 장관 후보자,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 권오을 보훈부 장관 후보자를 임명할 것으로 보인다. 이날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과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의 인사청문보고서가 국회에서 채택됨에 따라 장관 19명 중 4명을 제외한 15명의 인선이 이번 주 마무리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