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정부 재생에너지 확대 기조… ‘백업용’ LNG발전 신설 불가피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24010013767

글자크기

닫기

정순영 기자

승인 : 2025. 07. 23. 18:15

RE100 산단 호남 우선 조성 가능성
날씨영향 등 안정적 공급 LNG 제격
에너지믹스 국민적 공감대 마련 지적
정부의 재생에너지 확대 기조가 결국은 더 많은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 건립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RE100 산업단지 조성을 위해서는 재생에너지의 간헐성 문제를 보완할 과도기 연료가 필수인 만큼, 합리적 대안 에너지로 꼽히는 LNG 업계도 산단 조성의 향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23일 정부 관계자 등에 따르면 'RE100 산업단지 추진 TF'는 다음주 각 부처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2차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지난주 열린 1차 회의에서 각 부처는 재생에너지 인프라 구축, 기업 유치와 정주 여건 조성, 산단 개발 및 기반시설 확충 등 부문별 과제를 구체화하기로 뜻을 모았다. 조만간 새 정부의 RE100 산업단지 조성 지역이 발표되면 기업 유치 및 재생에너지 조달 방안들이 구체적으로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일단 전문가들은 RE100 산단에 공급될 재생에너지원이 호남 지역에 집적돼 있어 우선 조성 지역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지역에서 에너지를 생산해 지역 산업체가 이를 소비하는 '지산지소' 원칙에 따라 정부는 산단 인근의 재생에너지를 근거리에서 효율적으로 소모하는 밑그림을 그리고 있다. 다만 문제는 재생에너지의 날씨 등 외부 영향에 따라 공급량이 달라지는 간헐성이다. 반도체와 같은 첨단산업 분야 공정에서는 전력의 안정적인 공급이 중요한데 재생에너지만으로는 기술적 한계가 존재해 이를 보완할 에너지원이 필요하다. LNG의 경우 원전보다 빠르게 기동이 가능한데다 재생에너지에 비해 저렴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어 RE100 산단 조성에 필수적으로 따라가야 할 에너지원으로 꼽히고 있다.

문주현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전문위원은 "재생에너지 간헐성을 보완해 주는 백업 수단이 반드시 있어야 하는데 합리적인 가격에서 백업해 줄 수 있는 에너지원은 LNG 발전소밖에 없다"며 "LNG 발전소가 산단에 들어갈 수밖에 없는데 비싼 재생에너지와 백업 에너지 설비 등의 단가가 문제"라고 말했다.

실제 정부의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은 LNG의 비중 확대로 이어지고 있다. 산업부의 '2024년 에너지 수급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신재생에너지(11.7%)와 천연가스(6.0%)가 가장 빠른 발전량 증가세를 보였다. 에너지원별 소비 역시 신재생·기타 에너지(6.2%)가 늘어나면서 천연가스(5.0%) 역시 두드러진 증가세를 보였다. 정부의 에너지 전환 기조가 확산되고 있음에도 LNG가 여전히 필수적인 '과도기 연료'로 간주되고 있다는 방증이다. 업계 역시 RE100 산단 정책 가시화와 함께 LNG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한 LNG 발전사 관계자는 "RE100 산단 조성 정책 전망은 아직 불투명하지만 산단에 에너지를 공급할 기회가 주어진다면 당연히 환영하는 입장"이라며 "재생에너지 100% 활용으로 가는 길목에서 다리 역할을 할 수 있는 LNG 산업의 중요성을 정부 차원에서도 인식하고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RE100 산단의 성공적인 조성도 중요하지만 에너지믹스 정책의 근본적인 취지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 마련이 우선이라고 지적한다. 한 에너지 업계 관계자는 "전기가 남아돌 때와 부족할 때의 대안을 마련하지 않으면 정책이 성공하기 어렵다"며 "또 출력 제한으로 인한 사업자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정책도 마련되어야 재생에너지 사업이 탄력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순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