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의장은 지난 1년의 주요 성과로 △전국 최초 조례시행추진관리단 출범 △의정정책추진단 활성화 △지방의회법 제정 선도 △자치분권발전위원회 본격화 등을 통해 '민생이 최우선인 일하는 민생의회' 확립을 꼽았다.
김 의장은 "의회가 입법기관으로 많은 조례를 만들고 있지만, 그 조례들이 시행 과정에서 생기는 문제를 추적하는 체계는 부족했다"며 "진정한 입법은 조례 제정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시작이라는 관점에서 '조례시행추진관리단'은 의회가 힘들게 만든 조례가 도민의 삶 속에 스며들었는지 살피고 개선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해결책을 알아보는 '의정정책추진단'은 "도민 일상과 연결된 31개 시·군 현안들을 직접 현장에서 듣고, 정책화하는 구조라는 점에서 도의회가 '일하는 의회의 표상'을 만들고 있다고"고 평가했다.
김 의장은 또한 "2022년 지방자치법 개정으로 인사권 독립 등 성과는 있었으나 여전히 자체적인 조직권·예산편성권·감사권이 없는 등 제도개선이 절실하다"며 "이를 위해 지난 1월과 4월 직접 국회를 찾아 '지방의회법 제정' 등의 제도개선 건의안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자치분권 강화를 위한 노력도 이어지고 있다. 김 의장은 지난달 10일, 제11대 의회 후반기 자치분권발전위원회 첫 전체 회의를 열고, 지방의회의 독립성·자율성 확보를 위한 제도개선 모색에 나섰다. 자치분권발전위원회는 경기도의회가 전국 지방의회 최초로 조례에 근거해 설치된 자치분권 추진 기구로, 자치분권·총무행정·인사행정·재정분권 등 4개의 분과위원회에서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하게 된다.
그동안 경기도의회의 숙원이었던 3급 직제 신설에 대해서는 "단순히 직급 하나가 생긴 것을 넘어, 지방의회 인사권 독립의 완성도를 높일 기반을 마련했다"며 "그동안 의회사무처장에게 집중됐던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조직 운영에도 숨통이 트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전국 지방의회 최초로 '경기의정연구원'과 '의정연수원' 설립 추진도 주요 성과로 소개했다. 김 의장은 "도민들의 정책 수요가 다양해지고, 복잡해진 지금,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의회 또한 끊임없이 배우고, 질적인 성장이 거듭나야 된다"며 "최근 연천으로 부지가 정해진 의정연수원은 의회 전문성 향상을 위한 중장기 교육훈련의 거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의 1년에 대한 구상도 발표했다. 먼저 강화된 여야정 협치 실현을 강조했다. 김 의장은 "그동안 양당 교섭단체와 직접적인 소통의 폭을 넓히면서 정치적 신뢰를 쌓아 여야 양당 대표, 수석부대표 등과 함께하는 소통의 자리를 정례화할 수 있었다"며 "남은 과제는 집행부와의 협치 창구를 실질화 해, 의회 여야 및 집행부가 참여하는 '여야정협치위원회'를 조속히 가동 하겠다"고 밝혔다.
김 의장은 또 "지방의회 독립성 확보와 위상 강화를 위해 '지방의회법 제정'이 필요하다"며 "부족한 의정지원 인력과 전문위원 정수 등 어려움을 겪는 지방의회 문제 해결을 위해 전국 광역의회와 힘을 모아 지방의회의 제도개선을 이끌겠다"고 말했다. 이어 "지방의회법 제정을 위한 공론의 장을 열기 위해 올 하반기에 자치분권 콘퍼런스, 자치분권 교육 토크콘서트 등을 열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김 의장은 "남은 1년 동안 첫걸음을 뗀 조례시행추진관리단, 의정정책추진단 등 혁신 과제들을 안정적으로 마무리해 다가오는 제12대 의회가 성공할 수 있는 시금석이 되겠다"며 "지금까지 추진해 온 혁신들이 성과를 거두도록 살피고 또 살피겠다"고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