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923년 관동대지진의 기억, 연극 ‘안녕 간토’로 되살아나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08010004230

글자크기

닫기

전형찬 선임 기자

승인 : 2025. 08. 10. 06:00

잊힌 목소리와 숨겨진 기록, 세대를 넘어 전해진다
‘안녕’이라는 두 음절이 품은 이별과 화해의 무게
01
광복 80주년을 맞아, 100년 전의 비극을 오늘의 무대 위로 불러오는 연극 '안녕 간토'가 오는 15일부터 16일까지 청년문화공간JU 다리소극장에서 막을 올린다. 작곡가로 활동해온 박수환의 첫 창작극으로,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인성리 출신 조묘송 씨 일가의 실화를 모티브로 삼았다. 가난에서 벗어나기 위해 일본으로 이주한 조묘송 씨와 부인 문무연, 그리고 태중의 아이를 포함한 일가족 여섯 명은 1923년 9월 관동대지진 직후 '조선인 학살'의 참사 속에서 목숨을 잃었다. 작품은 이 비극의 현장에서 살아남은 이들과 그 후손들의 이야기를 현재로 끌어와, 과거의 상처와 화해, 그리고 오늘날 우리가 마주해야 할 질문을 밀도 있게 던진다.

무대는 2025년 도쿄의 한 평범한 가정에서 시작된다. 술에 의존하는 아버지 신이치(김신용)와 현실에 지친 딸 리카(이영주)는 사사건건 부딪히며 살아간다. 아들 료스케(장대성)가 재일 한인 역사자료관에서 일하는 여자친구 아키코(김미영)와 함께 귀향해 결혼 소식을 전하자, 신이치는 강하게 반대한다. 그 이유는 아키코 집안이 감춰온 어두운 과거와 연결되어 있다. 팽팽한 갈등 속에 도쿄에 또 한 번의 지진이 일어나고, 가족은 우연히 발견한 요코 할머니의 낡은 일기장을 통해 100년 전의 참혹한 기록과 마주하게 된다. 그날의 진실은 현재의 가족 갈등을 뒤흔들고, '안녕'이라는 인사의 진정한 의미를 새삼 되묻게 한다.

1923년 9월 1일, 일본 관동(간토) 지방에서 진도 8.0의 대규모 지진이 발생했다. 도쿄와 요코하마를 중심으로 도시 대부분이 무너지고 화재가 번지며, 사망·실종자가 10만 명을 넘겼다. 그러나 재난의 참혹함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혼란을 무마하려던 일본 정부와 일부 언론은 '조선인이 폭동을 일으키고 우물에 독을 풀었다'는 허위 소문을 퍼뜨렸고, 이는 군경과 자경단, 일반 시민들까지 동원된 조직적 학살로 이어졌다. 일본 정부는 당시 계엄령을 선포했고, 공식 발표로는 233명이지만, 국내외 연구자들은 최소 6천 명, 많게는 2만 명 이상이 희생됐다고 본다. 이번 작품은 이러한 역사적 참상을 단순한 기록이 아니라, 세대를 거쳐 이어지는 상흔과 화해의 과제로 재구성해 관객 앞에 펼친다.

방은미 연출은 "'안녕'이라는 말에 담긴 헤어짐과 만남의 중의적 의미처럼, 이 작품이 과거의 아픔에 작별을 고하고 새로운 시작을 위한 용기를 전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그는 화려한 무대 장치 대신 배우들의 숨결과 대사, 시선이 만들어내는 긴장과 울림에 집중했다. 장면 전환은 시대와 세대를 오가며 전개되고, 배우들이 맡은 1인 2역의 변주가 이를 매끄럽게 이어준다. 역사극의 무게 속에서도 희비가 교차하는 리듬을 살려 관객을 끝까지 끌어당긴다.

02
공연을 앞두고 진행된 '안녕 간토' 연습 장면. / 사진 구럼비 유랑단
03
공연을 앞두고 진행된 '안녕 간토' 연습 장면. / 사진 구럼비 유랑단
출연진은 각기 다른 무대 경험과 매력을 지닌 배우들로 구성됐다. 리카 역의 이영주는 연극 '여걸 강완숙 골롬바', '광대 1894' 등에서 섬세한 감정 연기를 보여왔으며, 드라마 '지리산'과 영화 '천년학' 등 스크린과 브라운관에서도 활약했다. 아키코 역의 김미영은 '우주로 간다', 'One day maybe' 등에서 강단 있는 무대를 선보였고, 드라마 '스물다섯 스물하나'로 대중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아버지 신이치 역의 김신용은 '대한민국 김철식' 등에서 무게감 있는 연기를 펼쳐온 중견 배우이며, 아들 료스케 역의 장대성은 뮤지컬 '김대건'과 드라마 '히어로는 아닙니다만' 등을 통해 폭넓은 장르 소화력을 보여줬다. 와타나베 타로 역의 방호병은 '죽어야 사는 남자' 등에서 개성 있는 무대 존재감을 발휘해왔다.

제작진 또한 주목할 만하다. 극작을 맡은 박수환은 오랫동안 음악가로서 경력을 쌓아온 만큼, 이번 작품에서도 대사와 장면 전개 속에 음악적 리듬과 정서를 자연스럽게 녹여냈다. 조명은 성미림과 이재성(제주)이 맡아 무대의 감정선을 빛으로 섬세하게 표현하며, 태극무대의 미니멀한 세트는 배우들의 연기에 더욱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기획에는 김원영, 김현, 우수민이 참여해 작품의 방향성을 정립했고, 홍보는 김광수가 담당했다.

'안녕 간토'는 을사늑약 120주년, 한일기본조약 60주년이라는 역사적 이정표 위에서, '조선인'이라는 이유만으로 목숨을 잃어야 했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시 꺼낸다. 100년의 시간이 흐른 지금, 과거의 비극은 여전히 우리 곁에 남아 있고, 그 기억을 어떻게 이어갈 것인가는 현재를 살아가는 세대의 몫이다. 작품은 그 물음 앞에서 관객이 '안녕'을 작별의 인사이자 새로운 시작의 선언으로 받아들일 수 있을지 묻는다. 나아가 무대 위에 소환된 목소리들은 단순한 과거 회고를 넘어, 기억을 이어가야 할 이유와 그 방식에 대한 치열한 성찰을 촉구한다. '안녕'이라는 두 음절 속에 담긴 이별과 만남, 용서와 다짐의 무게가 객석을 울리고, 각자의 자리에서 이어갈 다음 인사의 방향을 조용히 제시한다.
전형찬 선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