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인스타그램 새 지도서비스, ‘동해’ 표기 누락 논란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13010006641

글자크기

닫기

김지항 기자

승인 : 2025. 08. 13. 16:19

황해·동중국해 등 타 해역 명칭은 정확히 표기
map0
인스타그램 지도에 서해(Yellow Sea)와 동중국해(East China Sea)가 표기 돼있지만, 동해는 없다./인스타그램 캡처
인스타그램이 최근 도입한 지도 서비스에서 '동해' 표기가 누락된 것으로 13일 확인됐다. 서해와 동중국해 등 다른 해역 명칭이 표시된 것과 대조적이어서 이용자들의 문제 제기가 이어지고 있다.

메타(모회사)가 운영하는 인스타그램은 6일(현지시간) 게시물 위치 정보를 지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업데이트했다. 공개 설정을 하면 이용자와 친구들이 올린 게시물의 위치가 지도 위에 표시된다.

그러나 새 지도에서 '동해'라는 명칭은 찾을 수 없다. 서해(황해·Yellow Sea)나 동중국해, 오호츠크해 등 다른 해역 명칭이 명확히 표시된 것과 대비된다. 다만 일본해로도 표기되지 않아 영해 명칭 논란을 최소화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이에 대해 메타 측에 문의했으나 답변은 받지 못했다.

울릉도와 독도는 국가·언어 설정에 따라 표기 방식이 다르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지난달 24일 SNS를 통해 "한국어 버전에서는 '독도', 일본어 버전에서는 '다케시마'로 표기됐다"고 소개한 바 있다. 국가를 '기타'로 설정하면 아예 표기가 없거나 '리앙쿠르 암초'로 표시되는 경우도 많다. 리앙쿠르 암초는 1847년 프랑스 함선 리앙크루호 이름에서 유래했지만, 실질적 지배나 역사적 배경이 반영되지 않아 '중립'을 가장한 왜곡이라고 지적했다.

map2
인스타그램 지도를 한국에서 실행했을 때는 '독도', 일본에서는 '다케시마'로 뜬다./서경덕 교수
해외 IT기업 지도 서비스의 지명 표기 문제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구글 지도는 한국에서는 'East Sea'를 사용하지만 일본에서는 'Sea of Japan'으로, 국제 버전에서는 두 명칭을 병기하거나 일본해 단독 표기를 적용한다. 애플 지도는 한국에서만 'East Sea'를 쓰고, 일본에서는 'Sea of Japan'을 사용한다. 이 같은 이중 표기 관행은 한국 정부가 국제수로기구(IHO)와 국제사회에 병기 표기를 요구하는 계기가 됐다.

영토 표기 논란도 빈번하다. 독도(Dokdo)는 구글·애플 등 주요 서비스에서 한국어 설정 시 'Dokdo', 일본어 설정 시 'Takeshima'로 표기된다. 마이크로소프트의 빙(Bing) 지도는 'Takeshima' 표기를 유지하고 있다. 일부 국제 버전에서는 아예 표기를 생략하기도 한다.

전문가들은 "국제 IT 서비스에서의 지명 표기가 단순 기술 문제가 아니라 역사 인식과 직결된 사안이라고 지적하며,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지항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