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서울 아파트 월세 비중 48%…1년 새 7%P 증가
"당분간 월세 중심의 임대차 거래 이뤄질 것"
|
18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등록된 서울 아파트 임대차 거래 중 신규 계약 건만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7월 서울 아파트 월세 비중은 48%로, 작년 동기(41%) 대비 7%포인트(P) 늘었다.
전세 중심의 임대차 구조가 점차 전세·월세 간 균형에 가까운 구조로 재편되고 있다는 게 직방 분석이다.
자치구별로 보면 전세보다 월세 비중이 높은 지역은 동대문구(62%), 강북구(60%), 종로구(59%), 용산구(57%), 금천구(55%), 중랑구(54%), 강남구(53%), 중구(53%) 등이었다.
직장이 많은 도심과 강남권의 경우 직주근접 수요로 인해 임대차 비용이 높은 데다가 유동성 선호 경향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6·27 대출 규제로 인해 집주인이 전세보증금을 돌려주기 위해 받는 '전세금 반환용 주택담보대출'(전세퇴거자금대출) 한도가 종전 2억원에서 1억원으로 줄고, 다주택자의 경우에는 아예 나오지 않게 됐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등의 전세자금대출 보증 비율 역시 80%로 줄고, 시중은행도 전세대출을 막거나 축소했다.
이로 인해 전세금 마련이 까다로워지면서 임대차 시장에서 월세가 대안으로 떠오르는 것으로 보인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실 랩장은 "고가 주거지에서는 유동성을 확보하려는 수요가 월세 계약으로 전환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면서도 "자금 여력이 부족한 지역에서는 월세 선호가 구조적으로 심화되는 흐름"이라고 했다. 이어 "당분간은 월세 중심의 흐름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