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지원·기업 활력 제고 통한 신규 고용 확대 시급"
|
18일 한국경제인협회가 이미숙 창원대 교수에게 의뢰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쉬었음' 상태의 청년은 2019년 약 43만2000명에서 2023년 48만1000명으로 늘었다. 같은 기간 청년 인구가 966만명에서 879만명으로 줄었음에도, 청년층 내 '쉬었음' 비중은 4.5%에서 5.5%로 높아졌다.
보고서는 이들이 취업했을 경우를 가정해 경제적 비용을 추산했다. 2023년 기준 '쉬었음' 청년의 예상 월 소득은 약 180만원으로, 취업 청년 평균의 82.7% 수준이다. 이를 바탕으로 2019~2023년 5년간 발생한 경제적 비용은 약 53조4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쉬었음 청년의 예상 소득이 취업 청년의 평균 임금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적지 않은 금액"이라며 "높은 소득을 받을 수 있는 청년들이 쉬었음 상태에 빠지면서 경제적 비용을 유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경기 침체가 청년 고용을 악화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풀이된다. 보고서는 "고학력 청년이 경기 상황이나 시장 여건에 따라 신중하게 일자리 진입을 결정하는 등 탄력적으로 반응하는 특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대학교 이상 학력을 가진 '쉬었음' 청년은 2019년 15만9000명에서 2023년 18만4000명으로 증가했고, 비중은 36.8%에서 38.3%로 확대됐다.
아울러 양질의 일자리 부족 등 구조적 일자리 미스매치도 요인으로 꼽힌다. 한국은행은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한 미스매치 현상은 청년들이 자발적으로 노동시장을 이탈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경기 부진 장기화로 신규 채용이 위축되면서 청년 취업난이 심화되고 있다"며 "쉬었음 청년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 정책과 함께, 내수진작, 규제 완화 등 기업 활력 제고를 통한 신규 고용 여력 확대 노력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