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율 하락 무겁게 받아 들여…민생경제 집중할 것"
"당정 엇박자 불식 위해 정부조직법 먼저 통과 제안"
|
조국 전 대표에 대한 사면은 임기 중 피할 수 없다는 정무적 판단 아래 어차피 해야 한다면 취임 초에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내렸다는 후문이다. 조 전 장관 8.15 광복절 사면 이후 이 대통령 지지율이 하락하고 있는 현 상황 역시 대통령실은 예상했다고 한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21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간담회를 갖고 "정치인 사면으로 크게 피해를 본 분은 이재명 대통령이다. 피할 수 없다면 할 수밖에 없다, 고뇌어린 결단이었다는 배경이 있었다"며 이 같은 내용을 소개했다.
우 수석은 광복절 특별사면에서 가장 관심 사안은 신용·민생사면이었던 점, 측근과 선거법 관련자 제외 등의 법칙 등 최종 명단을 추리는 과정을 설명했다.
우 수석은 "그러다 보니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가 제일 먼저 제외됐다. 수집한 명단에 각 당의 선거법 위반 정치인이 매우 많아 규모 줄여가면서 마지막에 좁혀간 게 조국 전 대표 사면이었다"고 부연했다.
우 수석은 "정치인을 사면하면 민생사면의 빛이 바래지고 지지율도 4~5% 빠질 텐데 감수하시겠냐고 했고 그 때부터 (이 대통령의) 고민이 시작됐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여름 휴가 중 "피해가 있더라도 해야 할 일은 하자"고 결론을 내렸다는 설명이다.
|
이어 "이 대통령이 순방을 마친 뒤 9월부터는 민생안정 경제 살리기 프로그램에 집중하기로 했다"며 "타운홀 미팅도 재개할 것"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우 수석은 대통령실과 여당이 전날인 20일 검찰 수사와 기소 분리 원칙을 반영한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우선 처리하기로 한 것은 본인의 아이디어였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검찰 개혁과 관련해 충분한 공론화를 강조했고, 정청래 민주당 대표는 '추석(10월 6일) 전 개혁 완수'를 강조하며 당정이 엇박자를 내는 모습이 연출됐다.
이에 우 수석은 전날 민주당 지도부 만찬 30분 전에 이 대통령에게 공소청과 수사청 설립을 명시한 정부조직법을 먼저 통과시키고 이후에 구체적인 작업을 하는 방안을 제시했고 이 대통령은 "괜찮다"고 하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는 설명이다.
우 수석은 "정 대표도 이 대통령에게 '감사하다'고 할 정도로 두 분 다 이 방안에 흡족해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