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北, ‘한일정상회담은 친일 행위’ 비난…“한미일 협력 와해 의도”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25010011861

글자크기

닫기

정채현 기자

승인 : 2025. 08. 25. 10:17

한일 정상, 공동 언론 발표를 마치며<YONHAP NO-3800>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지난 23일 일본 도쿄 총리 관저에서 열린 한일 정상 공동 언론 발표를 마친 뒤 악수하고 있다. /연합
한미정상회담에 앞서 열린 한일정상회담에서 한일 정상이 한미일 협력을 강화하기로 한 가운데 북한은 "(이재명 대통령의) 곧 만나게 될 백악관 주인을 향한 구애의 메시지"라며 강력히 비판했다. 이를두고 "한미일 협력 와해 의도"라는 전문가 평가가 25일 나왔다.

조선중앙통신은 25일 김혁남 명의의 기사 '3각 군사공조 실현의 척후로 나선 서울 위정자의 추태'를 통해 한일정상회담은 "워싱턴의 '오해'를 덜어보려는 서울의 불안심리가 빚어낸 하나의 외교 촌극"이라고 지적했다.

김혁남은 "원래 한국 집권자의 일본 행각은 집권하면 미국부터 먼저 찾곤 하던 한국외교사의 관례를 거슬러 시작 전부터 여론의 주의를 끌었다"면서 "미국의 대외 전략 실행의 핵심 수단인 미일한 3각 군사동맹의 한 축으로 되는 한일관계를 '고도로 중시'한다는 확고한 자세를 보여 주어 상전의 의심을 해소하고 백악관 나들이 때 있을 수 있는 외교참사도 피해 볼 작정으로 급기야 자발적인 친일 검증 행각길에 오른 것"이라고 했다.

그는 이 대통령의 야당 대표 시절 발언을 꺼내 "리재명이 야당 대표 시절 민심 유혹을 위해 내뱉곤 하던 '대일 강경' 발언으로 얻어쓴 '반일' 감투 때문에 집권 이후 일본 내부의 싸늘한 시선은 물론 미국의 냉대와 압박을 받아온 것은 잘 알려져 있다"면서 "현 집권자에 대한 미국의 불신과 그로 인한 하수인의 번민이 얽혀 있다"고 말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이 같은 개인 필명 논평에 대해 "이 대통령의 대일·대미 정상회담을 '서울 위정자의 추태'로 폄하했다"면서 "비판 대상을 한국에 집중함으로서 한미일 와해 의도로 해석된다"고 밝혔다.

양 교수에 따르면 북한은 이 대통령이 "한일관계 발전은 한미일 협력 강화로 이어지는 선순환"이라고 언급한 것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향한 구애 메시지로 규정했다.

또 한일정상회담 언론보도문의 대북제재, 북한 불법활동, 납치문제 등에 대해 북한이 아무런 지적도 하지 않은 것은 힌미정상회담 결과를 보고 추후 대응하겠단 것으로 보인다.

다만 북한이 담화 형식이 아닌 개인 필명의 기고문 형식을 취하고, 서울위정자·한국집권자 등의 표현을 사용한 것은 수위조절의 흔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북한이 이처럼 대남 공격 메시지만을 발표한 것은 향후 한국 패싱하의 대미, 대일관계 모색을 내포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정채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