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오전에는 국가부주석 만나
오후에는 전인대 상무위원장 면담
|
특사단은 이어 오후에는 왕원타오(王文濤) 상무부장(장관)과 만나 양국 경제 협력을 한 단계 높은 차원으로 이끌어줄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또 26일 오전과 오후에는 한정(韓正) 국가부주석 및 자오러지(趙樂際)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국회) 상무위원장과 면담할 예정으로 있다. 방중 마지막날인 27일에는 특별한 일정 없이 바로 귀국길에 오른다.
이보다 앞서 24일 특사단은 댜오위타이 국빈관에서 중국 외교 사령탑인 왕이(王毅) 당 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당 중앙외사공작위원회 판공실 주임 겸임)을 만나 면담과 만찬을 갖고 한중 관계 발전 방향에 관한 이 대통령의 시 주석 앞 친서를 전달했다. 이 자리에서 특사단은 왕 위원 겸 부장에게 새 정부는 한미 동맹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면서 국익과 실용에 기반해 '한중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의 성숙한 발전을 추진할 것이라는 입장을 피력했다.
왕 위원 겸 부장 역시 한국의 새 정부가 특사단을 파견, 한중관계 발전에 관한 메시지를 전달해 준 것에 대해 깊은 사의를 표하면서 화답했다. 이 대통령의 친서를 시 주석에게 신속하게 보고하겠다고도 덧붙였다.이외에 중국 외교부는 25일 특사단 방중 활동과 관련, 전날 면담에서 한국이 '하나의 중국' 원칙에 대한 존중 입장을 밝혔다고 전하기도 했다.
또 당 기관지 런민르바오(人民日報) 계열의 환추스바오(環球時報)는 25일 "수교 당시의 초심으로 돌아와야 한중 관계가 비로소 안정적으로 멀리 갈 수 있다"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 "한국이 전략적 자주성을 갖춰야 중국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존중을 받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국 정부가 최근 들어 미일과 너무 밀착하는 것에 대한 우려를 에둘러 표현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