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일 시에 따르면 이번 조사는 2024년 4월부터 2025년 4월까지 1년간 진행됐다. 시는 전국 최초로 행정망 기반 전수조사를 실시해 복지 사각지대를 찾았다.
대전시 등록 발달장애인 8723명 중 약 13.5%가 복지수당 외 다른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달장애인 2인 이상이 한 가구에 거주하면서도 어떠한 지원도 받지 못하는 사례도 확인됐다.
발굴된 대상자 중 288명은 대전발달센터 방문 상담을 희망했다. 시와 대전발달센터는 전화 및 방문 상담을 통해 개인별 지원계획을 수립하고 공공·민간 서비스를 연계할 예정이다. 신청이 어려운 가구는 연 2회 이상 모니터링으로 지속 관리한다.
2차 조사부터는 기초생활수급, 차상위 자료를 반영해 발굴 정밀도를 강화했다. 시는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2년 주기의 전수조사를 정례화하고 예산을 반영할 계획이다.
또 2025년 하반기부터 2026년 상반기까지 5개 자치구에 거점기관을 지정한다. 이를 통해 지역 중심의 지원체계도 함께 강화한다.
2024년 기준 대전시에는 발달장애인 8723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전체 장애인의 12.23%를 차지한다. 이는 전국 평균보다 높은 수치로 체계적 지원 필요성이 지적돼 왔다.
박정은 대전발달센터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발달장애인 가족의 고립과 위기를 사전에 발견하고 필요한 지원을 체계적으로 연계하는 방안을 계속 찾아가겠다"고 밝혔다.
김종민 대전시 복지국장은 "대전시는 전국 최초로 행정망을 활용해 복지 사각지대 해소의 토대를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발달장애인과 가족 모두가 행복하고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는 포용적 복지도시를 만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