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 결과 곳곳에 토사와 흙탕물이 뒤엉켰던 마을은 빠르게 제 모습을 되찾고 있으며, 재난지원 확대로 주택·소상공인·농가 지원과 실질적 보상이 이뤄지며 재기의 발판이 되고 있다.
27일 아산시에 따르면 지난 7월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액은 260억 원에 달했다. 사유시설도 큰 피해를 입어 주택 364동(반파 4동·침수 360동)이 물에 잠겼고, 농·산림작물 1575헥타르(ha)와 농경지 14.7헥타르가 침수됐다. 가축 약 16만9000 마리가 폐사했으며, 소상공인 391업체도 영업 차질을 빚었다.
공공시설 피해도 컸다. 하천 34개소와 소하천 49개소가 범람·유실됐고, 산사태가 56개소에서 발생했다. 도로 2개소가 끊겼으며 소규모시설 34개소와 수리시설 14개소도 파손됐다.
아산시는 비가 잦아들자마자 도로와 하천, 산사태 현장을 정리하고 긴급 통행로를 확보하는 등 공공시설 응급복구에 나섰다.
총 784억 원 규모의 복구계획을 확정했다. 공공시설 복구비 683억 원과 피해자 지원 재난지원금 101억 원이 배정됐으며, 이 중 540억 원은 국가가, 244억 원은 충남도와 아산시가 분담한다.
예산은 공공시설의 기능 복원과 개선복구, 그리고 이재민·농림축수산인·소상공인의 생활 안정을 위해 쓰인다.
공공시설 복구는 하천 폭을 넓히고 제방을 보강하는 등 방재 성능을 높이는 사업으로 진행된다. 대표적으로 온양천 상하류 3.28km 구간에서 제방 5.5km, 교량 4개소, 배수시설 30여 개소가 정비된다.
이번 복구계획은 피해 주민 지원을 대폭 현실화했다. 시는 피해 직후 주택·소상공인 지원금 46억 원을 선지급하고, 피해신고 기간도 8월 20일까지 연장해 누락 사례를 최소화했다.
주택 피해의 경우 반파된 가구에는 정부지원금(1100만 원~2000만 원)에 더해 추가지원금 3000만 원이 지급된다. 침수 가구는 정부지원금 350만 원과 추가지원금 350만 원, 특별지원금 450만 원을 합쳐 총 1150만 원이 지원된다. 기존 지원금 대비 약 2.7배 확대된 금액이다.
소상공인 지원금 역시 기존 300만 원에서 추가지원금 500만 원, 특별지원금 600만 원, 구호금 200만 원이 더해져 총 1600만 원을 받는다. 과거 대비 5배 이상 늘어난 수준이다.
농림축수산 분야도 지원이 강화됐다. 농작물 피해 농가는 기존 1개월분 생계비 외에 피해 정도와 작물 특성에 따라 최대 11개월분까지 추가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수박·오이·딸기·고추·사과 등 10개 주요 농작물과 떫은감·고사리·약초류 등 8개 산림작물은 지원 단가를 실거래가 수준으로 현실화하고, 지원율도 50%에서 100%로 상향했다.
가축 입식비 역시 지원율을 50%에서 100%로 높였으며, 농기계 지원율은 35%에서 50%로, 농림축수산 시설 지원율은 35%에서 45%로 확대됐다.
이번 지원 확대는 시가 정부와 도에 재난지원금 현실화를 지속적으로 건의한 결과다. 단순한 위로금을 넘어 실제 복구와 재기의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지역사회 힘 모은 수해 복구로 160세대 370명에 달했던 이재민도 지난 26일 기준 2세대 2명을 제외하고 모두 귀가했다.
복구 과정에는 공무원과 군부대뿐 아니라 의용소방대, 청년단체 등 4000여 명이 현장에 투입돼 물청소와 토사 제거, 도배·장판 교체 등 실질적인 복구 작업을 도왔다. 지역내 기업과 단체도 성금과 구호물품을 보태 피해 주민들의 회복을 도왔다.
국비 확정 전부터 재난지원기금과 특별지원금 등 23억여 원을 선제 집행하는 등 '선 조치 후 정산' 원칙을 실현해 온 시는 앞으로도 신속한 항구 복구와 함께 재해 재발 방지 대책까지 마련해 시민들의 일상 회복을 앞당긴다는 방침이다.
오세현 시장은 "한 달간의 신속한 복구와 지원은 공직자와 지역사회, 군부대와 자원봉사자들의 헌신 덕분에 가능했다"며 "확정된 복구계획에 따라 지원과 복구를 신속히 추진해 주민들의 일상 회복을 앞당기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