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merica First’ 정책....미국산 무기 구매 확대 공식 논의
- 중러북등 주변국 반발 가능성 주목
|
이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 간 첫 만남으로 약 2시간 20분간 진행된 회담은 한미동맹 강화, 조선 협력 프로젝트(MASGA), 북한 문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등 광범위한 의제를 다뤘다.
회담 전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한국의 정치 상황을 언급하며 우려를 표했지만, 막상 회담은 우호적 분위기 속에서 진행됐다.
△ 'America First' 정책....미국산 무기 구매 확대 공식 논의
특히 눈길을 끈 것은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을 미국 군사장비의 '큰 구매국'으로 언급하며 미국산 무기 구매 확대를 공식 논의한 부분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에서 B-2 스텔스 폭격기를 직접 언급하며 "정밀 타격 능력 확보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한국의 추가 구매를 촉진하려는 의도가 명확히 드러났다.
다만, F-35A/B, MQ-9 리퍼, 글로벌호크, 사드, SM-3/SM-6, JASSM-ER/LRASM 등 구체적 무기 리스트는 공개 자료에서 확인되지 않았다.
일부 언론 보도에서 언급됐으나, 공식적으로 확인된 바는 없다.
이번 회담의 핵심 포인트는 한미동맹 내 전략적 의도와 압박 가능성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과 정책은 방위비 증액과 무기 판매 확대를 연계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이는 그의 'America First' 정책과 궤를 같이하며, 한국이 미국산 첨단 무기를 추가 도입할 경우, 한국군의 독자적 ISR(정보·감시·정찰) 운용 능력 확보에도 직접적 영향을 줄 수 있다.
K-방산 측면에서도 전략적 조정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K-2 전차, K-9 자주포, 천궁-II를 포함하여 배치 운영중인 KTSSM 전술지대지 유도탄 (체계명 '우레')을 비롯한 이미 고도화 단계에 접어든 300Km 이상의 사거리 연장형 KTSSM-II 개발과 KF-21 차세대 전투기 사업등 국내 방산 프로젝트는 미국 무기 도입 여부에 따라 개발·수출 전략을 일부 조정해야 할 가능성이 있다.
|
주변국의 반발 가능성도 주목된다. 사드 추가 배치나 장거리 미사일 도입은 중국과 러시아의 민감한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
2016년 사드 배치 당시의 사례가 이를 잘 보여주며, 외교적 부담 역시 현실적인 우려로 남는다.
종합하면, 트럼프 대통령의 한국에 대한 무기 구매 촉진 의도는 사실이다. K-방산 전략 조정 논의는 합리적이지만, 실제 정치권과 방산업계의 구체적 움직임은 아직 추정 단계다.
이번 정상회담은 단순한 친선 차원을 넘어, 한미동맹 내 안보·경제·방산 전략의 교차점임을 보여줬다.
|
국방 전문가들은 "트럼프의 무기 구매 제안이 사실이라 하더라도, 구체적 협상과 시점은 추후 한미 간 공식 발표를 통해 확인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K-방산 업계 역시 전략적 불확실성을 고려한 대응 방안을 준비해야 한다.
이번 회담은 한국 방위산업과 외교·안보 정책에 상당한 파급력을 지닐 전망이다.
미미국산 첨단무기 도입 여부에 따라 K-방산 수출 전략, 전작권 전환 일정, 주변국 외교 전략 모두가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한국은 전략적 선택의 기로에 서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