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네번째 퀀텀 점프’ 울산서 시작…SK, AI 데이터센터 시대 연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29010014970

글자크기

닫기

김영진 기자

승인 : 2025. 08. 29. 16:48

29일 울산서 'AI 전용 데이터센터' 기공식 개최
SK텔레콤·SK하이닉스·SK가스 등 계열사 참여
최태원 회장 진두지휘
국가 균형 발전·지역 일자리 창출 효과 기대
연간 1조원 규모 매출 목표
[사진2] SK AI 데이터센터 울산 기공식
유영상 SK텔레콤 CEO가 29일 열린 'SK AI데이터센터 울산' 기공식에서 기념사를 하는 모습./SKT
SK그룹이 반도체·통신·에너지 등 전 계열사의 역량을 총동원해 울산에 AI 전용 데이터센터(DC)를 세운다. 수도권에 집중됐던 첨단 인프라를 지방으로 확장하는 이번 프로젝트는 SK의 '네 번째 퀀텀 점프'이자 한국을 아시아·태평양 AI 허브로 이끄는 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SK텔레콤과 SK에코플랜트는 29일 울산광역시와 AWS(아마존웹서비스)와 함께 'SK AI데이터센터 울산' 기공식을 개최했다. 행사에는 최창원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 유영상 SK텔레콤 CEO, 김형근 SK에코플랜트 CEO, 김두겸 울산시장, Jake Park AWS 운영총괄, 신재원 AWS코리아 전무 등 200여명이 참석해 향후 협력 의지를 다졌다.

이번 데이터센터는 서버랙당 2040kW의 전력을 소모하는 초고집적 GPU 기반 구조와 공랭·수랭 하이브리드 냉각시스템, 안정적인 네트워크를 갖춘 글로벌 최고 수준의 인프라로 설계됐다. 기존 데이터센터보다 410배 높은 냉각 성능을 확보해 고성능 AI 연산을 안정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 SK하이닉스, SK가스, SK케미칼, SK멀티유틸리티 등 주요 ICT·에너지 계열사가 대거 참여해 그룹 역량을 결집했다. 단일 계열사 사업이 아닌 그룹 차원의 총력 프로젝트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네트워크·반도체·에너지 등 각 분야의 강점을 융합해 데이터센터 구축부터 운영, 전력 공급까지 내부에서 수직 통합이 가능한 구조를 마련했으며, SK는 이를 통해 지역 기업 유치와 일자리 창출은 물론 울산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겠다는 구상이다.

[사진1] SK AI 데이터센터 울산 기공식
유영상 SK텔레콤 CEO(오른쪽), 김두겸 울산시장이 29일 열린 'SK AI데이터센터 울산' 기공식에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SKT
이번 사업은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직접 진두지휘한 프로젝트다. 지난해 앤디 제시 AWS CEO와의 만남을 시작으로 수십 차례 협의를 거쳐 계약이 성사됐다. SK는 반도체부터 에너지, 데이터센터 운영까지 가능한 드문 역량을 강조하며 AWS와의 전략적 협력을 이끌어냈다. 특히 SK가스와 SK멀티유틸리티를 연계해 안정적이고 저렴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고 LNG 열병합 발전으로 온실가스 감축 효과도 기대된다.

유영상 CEO는 "'SK AI 데이터센터 울산'' 지역 산업 혁신의 구심점이자 아시아·태평양 AI 허브로 도약할 기회"라며 "울산시와 함께 'AI DC 클러스터'라는 신 산업 생태계를 조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최창원 의장은 "이번 착공은 대한민국 디지털 경제의 근간을 세우는 일"이라고 강조했으며, 김형근 CEO도 "차별화된 인프라 역량으로 국가적 AI 클러스터 구축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비수도권에 하이퍼스케일급 AI 전용 데이터센터가 들어서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수도권에 집중됐던 첨단 인프라가 지방으로 확산되면서 국가 균형 발전과 지역 일자리 창출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LLM(거대언어모델), 디지털 트윈, 스마트팩토리 등 AI 기반 산업 혁신의 필수 인프라가 마련됨으로써 울산 제조업의 체질 개선과 '르네상스'를 견인할 것으로 전망된다.

SK텔레콤은 이번 울산 데이터센터와 서울 구로 DC를 포함해 2030년까지 총 300MW 이상의 데이터센터 용량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연간 1조원 규모의 매출을 창출하겠다는 목표도 세웠다. 이는 AI 인프라 사업을 그룹 차원의 미래 성장축으로 삼고 글로벌 AI 허브로 도약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사진4] SK AI 데이터센터 울산 기공식
김두겸 울산시장(왼쪽부터 열 번째), 최창원 SK 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왼쪽부터 열 한 번째), 유영상 SK텔레콤 CEO(왼쪽부터 열 두 번째) 등 관계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SKT
김영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