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삼성·LG, 美최대 에너지전시회서 ESS 혁신제품 대거 공개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31010015357

글자크기

닫기

김한슬 기자

승인 : 2025. 08. 31. 16:14

8~11일(현지시간) RE+ 2025 참가
LG엔솔, 각형 기반 LFP 실물 최초 전시
삼성SDI, ESS 혁신기술 전면 내세워
[삼성SDI] RE+ 2025 전시장 조감도
삼성SDI RE+ 2025 전시장 부스 조감도. /삼성SDI
국내 배터리업계가 북미 최대 재생에너지 전시회에 참가해 ESS(에너지저장장치) 시장을 공략한다. 배터리사들은 미국 내 관세 정책·중국산 제품 견제 등으로 현지 생산 및 공급망 확보 움직임이 커지고 있다. 그중 ESS는 AI(인공지능)와 재생에너지산업의 빠른 확산으로 폭발적인 수요가 예정돼 있다. 북미 ESS 시장 진출에 시동 거는 삼성SDI는 신제품을 공개해 고객사 이목을 집중시키는 한편, 이미 ESS 생산 라인를 구축한 LG에너지솔루션은 시장 입지를 굳힌다는 방침이다.

31일 배터리업계에 따르면 국내 주요 배터리사는 9월8~11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되는 'RE+(Renewable Energy Plus) 2025'에 참가한다.

RE+는 재생에너지 산업의 최신 기술과 정책, 비즈니스 트렌드를 종합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행사다. 올해는 글로벌 관련 기업 1300여개가 참가할 예정이다. 국내 업체로는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가 참가하며 HD현대 등도 나서 토탈 에너지 솔루션을 선보일 예정이다.

삼성SDI와 LG에너지솔루션은 이번 전시회에서 ESS 제품을 적극 소개한다는 방침이다. 국내 배터리업계의 대형 고객사인 테슬라 등도 전시회에 함께하면서, 양사 간 제품 홍보 경쟁도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아직 미국에서 ESS 배터리 생산을 하지 않는 SK온은 전시회에 참가하지 않는다.

삼성SDI는 하반기 미국에서 ESS 배터리 생산을 본격 시작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이번 전시회에서 미국 현지 생산 제품을 기반으로 한 ESS 신제품 및 혁신 기술을 전면에 내세운다. 삼성SDI는 전력용 ESS 솔루션인 SBB(Samsung Battery Box)의 신제품 SBB 1.7과 SBB 2.0을 전격 공개한다.

SBB는 20피트(ft) 컨테이너 박스에 배터리 셀과 모듈, 랙 등을 설치해 전력망에 연결만 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일체형 제품이다. 사용 편의성과 성능, 안전성 등을 두루 갖췄다는 평가를 받으며 올해 초 열린 세계 최대 IT전시회 'CES 2025'에서 'CES 혁신상'을 받았다.

이번 전시회에서 최초 공개된 신제품인 SBB 1.7은 기존 SBB 1.5 대비 에너지 밀도를 약 17% 향상시킨 제품이다. SBB 2.0은 LFP 셀을 사용한 제품으로 삼성SDI 고유의 설계 노하우와 수명 예측 알고리즘을 통해 업계 최고 수준의 장수명을 갖춘게 특장점이다.

삼성SDI 관계자는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는 미국 시장을 겨냥한 현지 맞춤형 ESS용 배터리 신제품과 혁신 기술을 공개할 것"이라며 "고성능과 고효율을 겸비한 ESS용 배터리로 미국 시장 공략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참고사진] LG에너지솔루션 RE+ 2025 전시 부스 조감도 전면
LG에너지솔루션 RE+ 2025 전시 부스 조감도 전면. /LG에너지솔루션
LG에너지솔루션은 업계 최초로 북미 지역 내에서 생산될 예정인 각형 폼팩터 기반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셀 실물 제품을 처음으로 전시할 예정이다. 회사는 올해 2분기 미시간 공장에서 ESS용 LFP 배터리의 양산을 본격화했다. 업계 최초로 현지에서 전 밸류체인을 아우르는 생산 체계를 마련한 만큼 그 관심도 뜨거운 상황이다.

이외에도 회사는 북미 시장에 특화된 JF2 AC/DC LINK 시스템 실물을 전시한다. 올해부터 생산을 시작한 해당 제품은 고효율, 고안전성의 LFP 배터리를 기반으로 한 시스템이다. 최대 5.1MWh의 높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으며, 출력 타입AC or DC)을 선택할 수 있는 등 고객 맞춤형 솔루션이다.

김형식 LG에너지솔루션 ESS전지사업부장 상무는 "LG에너지솔루션은 이번 RE+ 2025를 통해 업계 최초로 북미 현지 LFP 생산 체계를 선보였다"라며 "앞으로도 파우치형과 각형 등 다양한 폼팩터를 갖춘 경쟁력을 기반으로 북미 시장에서 최초, 최고의 기록을 써 내려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한슬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