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중국 ‘전승절 80주년’ 열병식, 핵 3축 체계와 무인 전력 총망라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04010002541

글자크기

닫기

구필현 국방전문기자

승인 : 2025. 09. 04. 12:14

△"중국의 존엄 건드릴 수 없다"
△무인 전력, ‘AI 전쟁’ 시대 선언
△북·중·러 밀착, 서방과 대립각
△“현대화 성과 과시… 실전성은 의문”
0904 중국 전승절 80주년 열병식
지난 3일 베이징에서 진행된 중국 전승절 80주년 기념행사에서 중국 정부는 JL-3 잠수함발사탄도탄(좌측)과 DF-61 대륙간탄도탄을 등장시켜 미본토 타격능력을 과시하고 있다. 2025.9.4.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중국이 제2차 세계대전 승전 80주년을 맞아 베이징 톈안먼 광장에서 대규모 열병식을 열고, 핵 3축 체계와 무인 전력을 총망라한 최첨단 무기들을 대거 공개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나란히 참석하면서 북·중·러의 반(反)서방 전선을 상징적으로 드러낸 자리였다.

3일 오전 10시(현지시각)부터 약 70분간 진행된 이번 열병식에는 1만2000명의 인민해방군(PLA) 병력과 500여 대의 장비가 동원됐다.
2015년 70주년 행사 이후 최대 규모다.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은 검은 마오쩌둥식 정장을 입고 개방형 차량에 탑승해 사열을 실시했으며, 톈안먼 망루에서는 김정은·푸틴과 함께 모습을 드러냈다.
1959년 이후 66년 만에 북·중·러 정상이 한 무대에 선 장면은 그 자체로 반서방 구도의 메시지였다.

△ "중국의 존엄 건드릴 수 없다"
시 주석은 연설에서 "중국은 세계 평화를 지킬 것"이라면서도 "주권과 존엄은 결코 침범할 수 없다"며 대만과 남중국해를 겨냥한 경고성 발언을 남겼다.
미국을 직접 지목하지는 않았지만, 패권주의와 일방주의를 비판하며 서방 질서를 향한 불만을 드러냈다.

0904 중국 전승절 80주년_ICBM table
중국 전승절 80주년 열병식에서 공개한 중국군 최신 핵무기와 각종 무인기를 포함한 재래식 무기, 자료=SIPRI 2024, CIA핸드북, 2024국방백서
△ 핵 3축 완성, 美 본토 타격 능력 과시
열병식의 핵심은 중국의 군사 현대화 성과를 한눈에 보여준 무기 전시였다.
중국은 육·해·공 전 영역에서 핵 억지력을 구축한 '핵 3축(트라이애드)' 완성을 과시했다.

육상에서는 사거리 1만3000㎞ 이상인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둥펑(DF)-61는 물론 처음으로 DF-5C가 공개됐다.
다탄두(MIRV) 장착으로 한 발에 최대 10개의 핵탄두를 실을 수 있는 이 미사일은 미국 본토 전역을 사정권에 둔다.
여기에 이동식 발사대 기반의 DF-61과 DF-31BJ도 등장해 신속 대응 능력을 강조했다.

해상 전력은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JL-3이 주목을 끌었다.
사거리 1만1000㎞로, 중국 근해에서 발사해도 미 본토를 타격할 수 있는 수준이다.

공중 전력으로는 전략폭격기 탑재용 JL-1이 등장해 공중 핵 투발 능력을 완성했다.
이로써 중국은 미국·러시아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핵 3축 보유국 대열에 합류했음을 대내외에 천명했다.
또 '괌 킬러'로 불리는 DF-26D 중거리탄도미사일과 극초음속 활공체를 탑재한 DF-17도 등장, 서태평양 미군 기지에 대한 위협 능력을 과시했다.
국내외 군사전문가들은 중국이 보유한 핵탄두가 1000기 수준으로 늘었으며, 서부 사막지대에 신형 사일로를 대거 증설했다고 분석한다.

△ 무인 전력, 'AI 전쟁' 시대 선언
중국은 이번 열병식에서 유인·무인을 아우르는 차세대 전력 구상도 선보였다.
초대형 무인잠수정 AJX-002는 러시아의 '포세이돈'에 견줄 심해 전략무기다.
수개월간 자율 항해하며 정찰과 핵 타격 임무까지 수행 가능하다고 선전했다.

△ 공중 무인 전력도 주목을 끌었다.
스텔스 무인 전투기 GJ-11과 CH-7(FH-97)은 '충성스러운 윙맨' 개념을 강조하며, 인공지능(AI) 기반으로 유인기와 협동 작전을 수행한다.
내부 무장창을 갖춘 정밀 타격 능력까지 보여주며, 전투기와 드론이 결합된 미래전 양상을 예고했다.

지상에서는 정찰·타격용 무인 차량, 폭발물 제거 로봇, 무인 보급 차량이 행진에 동원됐다.
해상에서는 무인 수상정과 기뢰 부설 플랫폼이 공개돼 중국군이 전면적으로 무인화를 지향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전문가들은 이를 "PLA가 드론 중심의 '스마트 전쟁' 개념으로 전환 중임을 공식화한 것"으로 해석한다.

0904 중국 전승절 80주년_김정은 시진핑 푸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3일 중국 전승절 80주년 기념 대규모 열병식에 참석했다. /사진=연합뉴스
△ 북·중·러 밀착, 서방과 대립각
푸틴과 김정은의 참석은 중국이 추진하는 반서방 연대의 상징성을 강화했다.
서방에서는 이를 중국·러시아·북한·이란으로 이어지는 이른바 'CRINK' 신(新)냉전 구도의 일환으로 해석한다.

반면 미국·영국·프랑스 정상은 불참했고, 일본은 동맹국들에 불참을 권유했다.
한국도 우원식 국회의장을 파견하는 수준으로 서방과 보조를 맞춘 것으로 국제정치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 "현대화 성과 과시… 실전성은 의문"
전문가들은 중국이 2027년 PLA 창설 100주년을 '군사 현대화 완성 시점'으로 삼고 있다며, 이번 열병식이 그 중간 점검 성격을 띠었다고 분석한다.
그러나 DF-61이나 AJX-002 같은 일부 무기는 실전 배치 여부가 불확실하고, 중국군의 실전 경험 부족도 한계로 지적된다.

그럼에도 이번 열병식은 중국이 미국 중심의 인도·태평양 질서에 정면 도전장을 던졌음을 분명히 보여줬다.
핵무력의 양적·질적 확대와 무인 전력의 급격한 발전은 동아시아 안보지형을 뒤흔드는 변수다. 서방 동맹국들이 중국의 '군사굴기'를 예의주시하는 이유다.
구필현 국방전문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