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노동부, 임금·근로시간 24시간 상담…AI 노동법 서비스 개시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05010003223

글자크기

닫기

설소영 기자

승인 : 2025. 09. 05. 16:10

삼성SDS 전용 클라우드 설계…보안성과 안정성 확보 강조
KT·팔란티어 협력 사례 등 산재 예방 AI 활용방안도 논의
2025082801002372400145101
/박성일 기자
고용노동부(노동부)가 노동 행정 전반에 인공지능(AI)을 본격 도입한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서울에서 열린 '고용노동행정 인공지능 대전환 회의(AX Summit)'에서 AI 노동법 상담과 근로감독 AI 비서 서비스를 공식 개시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노동자·사업주·산업계 관계자·공인노무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모든 사람이 존중받고 안전한 일터'를 목표로 한 인공지능 행정 혁신 방안이 논의됐다.

AI 노동법 상담은 임금·근로시간·실업급여 등 주요 노동법률 분야를 32개 언어로 24시간 제공한다. 노동부는 지난해 마음AI와 과기정통부의 '초거대 AI 서비스 개발 지원 사업'으로 시제품을 만든 뒤 올해 3월 한국공인노무사회와 협력해 173명의 노무사가 검증에 참여하면서 답변 정확도를 높였다.

근로감독 AI 비서는 사건자료 분석, 질문지 작성, 수사보고서 작성까지 지원하는 생성형 AI 서비스다. 삼성SDS와 함께 노동부 전용 클라우드에서만 작동하도록 설계해 개인정보 유출 우려를 최소화했다.

행사에서는 각계 전문가들이 AI를 활용한 산재 예방 및 노동행정 혁신 사례를 공유했다. 사미텍은 공인노무사팀과의 협업 과정을 소개하며 노동행정 AI 기술적 난제를 극복한 경험을 발표했다.

삼성SDS는 작업환경 위험성 평가 및 작업계획서 작성 지원 사례를 공개했다. 당근마켓은 구인·구직 매칭 과정에 AI를 적용해 국민 체감도를 높이는 방안을 설명했다. KT는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와 협력한 건설 현장 산재 예방 데이터를 제시해 눈길을 끌었다.

고용노동부는 작업현장 사진 분석을 통한 위험 요소 신속 파악, 산재 발생 시간·장소 예측 등 아이디어도 내놨다.

김영훈 장관은 "고용노동부의 AI 대전환은 한정된 인력과 예산의 한계를 뛰어넘어 일하는 모든 사람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며 "과기정통부·AI 전문기업·공인노무사회와 협력해 안전한 일터를 반드시 만들겠다"고 말했다.

박기현 한국공인노무사회 회장은 "AI 노동법 상담은 최신 기술과 173명의 노무사 경험이 결합된 성공적인 민관 협력 모델"이라며 "앞으로도 국민 노동권 보호를 위한 전문가 단체로서 역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설소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