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GPU 확보 목표 상향…AI기본법 과태료 유예할 것"
과학기술 AI 장관회의 주최…"안정적인 국민의 삶에 고민"
|
배 장관은 12일 서울 종로구 HJ 비즈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과기부가 단순히 기술 개발이나 프로젝트 과제를 지원하는 걸 넘어서 대한민국이 잘 살수 있도록 잠재 성장률 3% 회복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AI를 꼽았다. 배 장관은 '언어모델(LLM)-멀티모달(LMM)-행동모델(LAM)'로 이어지는 자체적인 AI 모델 개발 로드맵을 공개했다. 이를 기반으로 특정 산업에 특화된 AI 모델을 개발·확산시키는 한편, 국민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모두의 AI'를 실현하겠다는 방침이다.
배 장관은 "연말이 되면 글로벌 상위 10위 안에 드는 LLM이 나올 예정으로, 그후 내년에는 멀티모달 분야에서 성과가 나오고 이어 AI가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행동모델까지 완성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자체적인 파운데이션 모델을 만든 후 이를 오픈소스화해 특허 AI 개발의 기반을 만드는 한편, 공공분야의 인공지능 전환(AX)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동시에 AI와 관련된 규제는 유예하겠다는 것이 배 장관의 계획이다. 그는 "AI 기본법의 핵심은 산업 진흥에 있다"며 "AI 기술의 악남용을 막기 위해 최소한의 규제는 두겠지만, 그에 따른 과태료 부과는 최소 1년 이상 유예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AI 확대의 조건인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소형모듈원자로(SMR)의 기술력 향상과 상용화 시기 단축 등을 위한 계획도 전했다. 배 장관은 "전력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어야 컴퓨팅센터의 24시간 가동 등이 가능한 만큼, 정부에서 SMR에 대한 관심이 많다"며 "비경수로형 SMR에 대한 개발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신규 SMR 기술 개발 이후 상용화까지 10년 정도의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며 "빠른 상용화를 통해 미래의 에너지 믹스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 7일 발표된 정부조직 개편안에 따라 부총리 격상을 앞두고 있는 만큼 국가 AI 정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기 위한 계획도 공개됐다. 배 장관은 "이르면 다음 달 초로 예정된 부총리 격상 후 과학기술 AI 장관회의를 주최할 것"이라며 "과학기술과 AI를 선도하는 부처로서 자리매김하고, 전 부처의 AI 대전환 그리고 국민의 삶을 더 안정적으로 만들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또 부총리급 부처 격상을 통해 연구개발(R&D) 예산에 대한 목소리 역시 키우겠다는 의지다. 배 장관은 "과거 R&D 예산안을 검토하는 시간이 부족하다보니 적절한 예산 투입에 한계가 있어왔다"며 "예산을 충분히 검토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는 부분 등에 대해 요구를 하고 있으며 조직 격상에 따라 관련 의견을 강하게 내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