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지금 강서는] ‘하늘과 땅’, 발전과 안전…균형 찾는 강서구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14010007421

글자크기

닫기

박지숙 기자

승인 : 2025. 09. 14. 14:02

진교훈 구청장, '하늘 아래 묶인 땅' 김포공항 고도제한 완화 '총력'
'안전 강서' 마곡안전체험관, 실제 같은 재난체험…'안전 의식' 고취
2. 지하철 안전 체험
서울 강서구 '마곡안전체험관'의 지하철안전체험관 모습. 실제 지하철 5호선 객차를 그대로 옮겨놓은 공간에서 어린이들이 안전체험을 하고 있다./강서구
하늘과 땅 사이에 끼인 도시가 있다. 김포공항의 고도제한으로 수십 년간 개발이 억눌린 서울 강서구다. 지난 11일 마곡안전체험관에서 만난 진교훈 구청장은 '안전과 발전은 대립이 아닌 동행'이라는 새로운 해법을 제시했다. 70년 만에 바뀐 국제 항공기준을 발판 삼아 고도제한을 완화하는 동시에, 각종 재난에 대비한 안전교육 인프라를 구축해 지역 발전의 토대를 다지겠다는 구상이다. 이날 진 구청장은 서울시 기자단을 대상으로 한 프레스투어에서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항공고도 관리 기준 개정에 따른 김포공항 적용방안을 발표했다. 특히 '안전체험관'이라는 상징적 공간에서 열어 개발과 안전의 균형을 추구하는 강서구의 철학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와!! 진짜 무서워!" 3층 재난안전체험존에서 만난 지진체험은 '진도 7 규모'의 흔들림을 그대로 재현했다. "학교에서 지진이 발생했을 때는 바로 머리를 방석 등으로 가리고 책상 밑으로 들어가 책상이나 의자 다리를 붙잡아야 한다"는 안전강사의 지침에도 막상 좌우로 심하게 흔들리자, 균형을 잡을 수 없었고 겨우 책상 아래로 몸을 숨길 수 있었다. 순간 실제 지진 상황인 듯 긴장감이 감돌았다.

2층 지하철안전 체험존은 더욱 생생했다. 실제 지하철 5호선 객차를 그대로 옮겨놓은 공간에서 하얀 연기가 피어오르자, "불이야!"를 외치며 직접 스크린도어 개방 버튼을 누르고 선로로 내려 대피하는 과정을 실습한 이들은 "실제 화재라면 정말 무서웠을 것 같다"며 감탄했다.

마곡안전체험관은 2024년 4월 문을 연 기초자치단체·광역자치단체·교육청 협력 건립 전국 최초 사례다. 빗물 저류조라는 기피 시설을 주민 친화 시설로 탈바꿈시켜 교통안전, 자연재난, 화재안전, 보건안전, 사회기반안전, 학생안전 등 6개 분야 12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2024년 5월부터 2025년 8월까지 14만 2062명이 교육을 수료했으며, 이용자 92.5% 가 만족했다.

구는 현재 사이버안전체험관 구축과 3D 몰입형 미디어아트존 조성사업을 진행하고 있어 안전교육의 첨단화도 추진 중이다.

진 구청장은 "재난 상황에서는 평소 연습과 훈련이 생명을 좌우하는 만큼 실전과 같은 체험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첨단기술을 활용한 실감형 안전교육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2
진교훈 강서구청장이 지난 11일 서울시기자단을 대상으로 한 프레스투어에서 구의 오랜 숙원인 김포공항 고도제한 완화를 위해 "고장난 레코드처럼 수십 년 반복된 '고도제한 완화' 구호를 이제 실행으로 바꾸겠다"고 선언했다./강서구
특히 진 구청장은 구의 오랜 숙원인 김포공항 고도제한 완화를 위해 "고장난 레코드처럼 수십 년 반복된 '고도제한 완화' 구호를 이제 실행으로 바꾸겠다"고 선언했다.

김포공항이 위치한 구는 면적의 97% 이상이 규제에 묶여 재건축·재개발 사업에 큰 제약을 받아왔다.

최근 ICAO는 기존 '장애물 제한표면(OLS)'을 '장애물 금지표면(OFS)'과 '장애물 평가표면(OES)'으로 세분화했다. 개정서문에는 '사용하지 않는 표면은 보호할 필요가 없으며, 안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구역은 개발을 위해 해제할 수 있다'고 명시돼 있다. 김포공항에 적용할 경우, 3.35~4.3km 구간에서 현행 45m에서 60m로 상향돼 최대 15m의 완화 효과가 발생한다.

논의의 키는 국토교통부가 쥐고 있다. ICAO 기준은 가이드라인이기에, 각국은 자국 사정에 맞는 적용안을 마련해 통보하면 된다. 구는 이미 연구 용역을 통해 자체안을 마련했지만, 국토부가 이를 어느 수준까지 받아들일지가 '관건'이다. 구는 2023년부터 선제적으로 민관합동 '공항 고도제한 완화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비행 운항절차 중심'의 적용방안을 마련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문제는 역시 '안전'이다. '고층 빌딩이 우후죽순 생기면, 비행조종사들이 심리적 압박이 클 수 있지 않느냐'는 지적에 진 구청장은 "안전과 관련해 조종사 협회와 항공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드시 반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진 구청장은 "국토부와 항공안전과 도시개발의 조화를 명시한 국제기준 변화에 맞춰, 실제 운항절차에 근거한 합리적 고도관리 체계를 마련해 주민 삶과 도시 잠재력을 회복하겠다"고 밝혔다.
박지숙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