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전 비서관은 이날 오후 12시 59분께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 특검팀 사무실 앞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이 이 전 장관 호주대사 임명을 준비하라고 지시했나' '안보실에서 방산 공관장회의를 급히 기획했나' 등을 묻는 취재진 질문에 답하지 않고 조사실로 향했다.
이 전 비서관은 순직해병 사망사건이 있던 2023년 7월부터 지난해 3월 이 전 장관의 호주대사 임명 시기 국가안보실 외교비서관으로 재직했다.
순직해병 특검팀은 이 전 비서관을 상대로 이 전 장관의 호주대사 임명 의혹에 관여한 부분을 조사할 예정이다. 또 이 전 장관의 귀국 명분인 '방위산업협력 주요 공관장 회의'가 국가안보실 주도로 기획된 것인지 캐물을 것으로 보인다.
이 전 장관의 호주대사 임명 의혹은 지난해 3월 이 전 장관이 순직해병 사망사건 수사 외압 의혹 피의자 신분으로 출국금지 상태였음에도, 인사 검증 적격심사에서 문제 없이 호주대사로 임명돼 불거졌다. 당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출국금지 해제를 반대한다는 의견에도 법무부는 출국금지를 해제하면서 이 전 장관의 도피 논란이 일었다.
이후 이 전 장관은 출국 11일 만에 귀국했으며 대사 부임 후 25일 만에 사임했다.
순직해병 특검팀은 이 전 장관을 오는 17일 불러 조사할 예정이다. 이 전 장관 측은 지난 10일 언론 공지를 통해 "공식 출석요구서 교부와 공정하고 투명한 조사를 담보하기 위한 영상녹화 조사를 희망했다"고 말했다.
한편 순직해병 특검팀은 이날 '수사외압 의혹'과 관련해 순직해병 사망사건 당시 국방부 2인자였던 신범철 전 국방부 차관을 소환했다.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모해위증 등 혐의를 받는 김계환 전 해병대 사령관의 조사도 진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