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서울 등 수도권 아파트값 다시 ‘들썩’…정부, 토허제 등 ‘수요 억제’ 카드 만지작?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19010010754

글자크기

닫기

김다빈 기자

승인 : 2025. 09. 19. 10:48

서울 아파트값 2주 연속 상승폭 확대…매수세 ‘재점화’
대출 규제에도 분당·판교 등 수도권 인기지 ‘강세’
“정부, 토허제 직권 지정해 추가 규제 가능성 ↑”
이미지
서울의 한 아파트 밀집지역 전경./연합뉴스
서울 등 수도권 아파트 시장이 새 정부의 첫 부동산 대책인 9·7 공급 대책과 지난 6월 대출 규제 강화에도 불구하고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마포·성동구 등 이른바 '한강 벨트'를 중심으로 신고가 거래가 속출하면서 정부가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추가 지정 카드를 꺼낼 수 있다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19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9월 셋째 주(15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12% 상승하며 2주 연속 오름폭을 키웠다. 지난주 0.09% 상승에서 이번 주 0.12%로 0.03%포인트 확대된 것이다.

상승세를 주도한 곳은 성동구와 마포구였다. 성동구의 주간 아파트값 변동률은 0.27%에서 0.41%로 확대됐고, 마포구 역시 0.17%에서 0.28%로 상승폭이 커졌다.

규제 수위가 더 높아질 수 있다는 불안감에 '지금이라도 사자'는 수요가 몰리며 매수세가 강해졌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성동구 행당동 '서울숲리버뷰자이' 전용 84㎡는 지난 14일 25억1000만원에 거래되며 최고가를 새로 썼고, 마포구 염리동 '마포자이' 전용 113㎡도 26억5000만원에 거래돼 신고가를 기록했다.

반면 규제 지역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와 용산구도 다소 주춤했다. 강남구와 용산구는 상승폭이 소폭 줄었지만, 서초·송파·강동구는 여전히 상승세를 이어갔다. 9·7 대책에 따라 이 지역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이 50%에서 40%로 낮아지면서 자금 부담이 커지자, 매수세가 마포·성동·양천 등으로 이동하는 '풍선효과'가 나타났다는 분석이다.

서울의 가격 상승 분위기는 경기·인천 등 수도권으로도 확산하고 있다. 경기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 보합에서 이번 주 0.01% 상승으로 돌아섰다. 특히 성남 분당·판교 등 1기 신도시와 서울 접근성이 좋은 지역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직방 분석에 따르면 9월 들어 분당구에서만 49개 단지가 종전 최고가를 갈아치웠으며, 성남 수정구에서도 신고가 거래가 11건 발생했다. 인천도 가격 상승 보합세를 보였지만, 일부 역세권 신축 단지를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증가하는 모습이다.

분당구 한 공인중개사는 "정비사업 기대감과 서울 접근성을 동시에 갖춘 분당·판교는 정부 공급 대책이 구체화하더라도 단기 가격 조정은 쉽지 않다"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7일 대규모 공급 확대 방안을 발표하며 시장 안정 의지를 강조했다. 다만 공급 대책은 장기 성격이 강해 단기 시장 안정 효과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입주 물량이 당장 늘지 않는 상황에서 수요가 결국 서울·수도권 입지 우량 단지로 쏠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9·7 공급 대책은 중장기적으로 공급 확대 기대감을 키워 시장 불안을 낮출 수 있다"면서도 "실제 체감 공급까지는 시간이 걸려 당장의 효과는 제한적일 수 있다. 단기적으로는 선호 지역을 중심으로 국지적 강세와 양극화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같은 상황에서 규제 강화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 17일 강남 3구와 용산을 토허제로 1년 3개월 재지정했다. 하지만 최근 가격 상승세가 두드러진 마포·성동 등 한강 벨트 지역은 여전히 규제에서 제외돼 있어 정부가 직권으로 추가 지정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이 힘을 얻는다.

정부는 9·7 대책을 통해 국토부 장관의 토허제 지정 권한을 강화하는 입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법 개정이 완료되면 지자체와 무관하게 정부가 직접 지정할 수 있어 대응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이재명 대통령 역시 지난 11일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초과 수요와 투기 수요를 끊임없이 통제해야 한다"며 필요시 추가 규제를 시사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시장에서는 서울 규제 확대가 '시간문제'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김 랩장은 "서울 주요 지역의 토허제 연장으로 핵심 입지 진입 장벽은 당분간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며 "추가 지정이나 규제를 의식한 선매수 움직임도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다빈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