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성동구 반지하 개선사업 ‘대통령상’…전국 기초지자체 최초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21010011256

글자크기

닫기

박아람 기자

승인 : 2025. 09. 21. 11:52

'대한민국 지방자치경영대전' 대상인 '대통령상' 수상
반지하 등급제 전수조사 시행…침수피해, 최근 5년간 0건
0921 지방자치경영대전 대통령상 수상 기념 사진
정원오 서울 성동구청장(가운데)이 '제21회 대한민국 지방자치경영대전'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한 뒤 직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성동구
서울 성동구가 반지하 개선사업 성과로 '대통령상'을 수상했다.

구는 행정안전부 주관 '제21회 대한민국 지방자치경영대전'에서 '대통령상'을 받았다고 21일 밝혔다. 특히 지방자치경영대전에서 대통령상을 받은 건 전국 기초자치단체 중 성동구가 유일하다.

구는 2022년 집중호우로 반지하 주택 침수가 사회문제로 부각되자, 종합 대책을 추진했다. 같은해 9월 반지하 6321가구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했고, 물막이판과 개폐식 방범창 등 침수방지 시설을 설치했다. 4년간 4072세대의 위험요소를 제거하며 안전한 주거환경을 조성한 결과, 2010~2018년 273건에 달했던 침수 피해가 2019년 이후 최근 5년간 단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구는 반지하를 무조건 철거하는 방식이 아니라 진단과 평가를 통해 개선하는 차별화된 정책을 펼쳤다. 거주가 위험한 D등급 주택 2가구는 주민과 협의해 지상 임대주택으로 이주시키고, 공실이 된 반지하는 재난안전용품 보관소와 자활 공간으로 활용했다. 이를 바탕으로 제정된 '위험거처 개선 및 지원에 관한 조례'는 2022년 법제처 우수조례로 선정됐으며, 2024년 인구주택총조사에 반지하 전수조사가 처음 포함돼 국가 통계 기준에도 반영됐다.

구는 청계천·중랑천·한강을 접하는 서울 최대 수변도시라는 지리적 특성으로 상습 침수 피해를 겪어왔다. 2018년 이후 빗물펌프장 3개 증설, 노후 하수관거 정비, 신속한 빗물받이 준설을 추진하며 도시 안전 인프라를 강화했다. 현재는 30년 이상 노후주택까지 포함해 위험거처 실태조사, 등급 진단 및 맞춤형 개선 지원을 진행하고 있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주거는 단순한 공간이 아니라 삶의 기본 권리"라며 "앞으로도 성동구의 위험거처 주거환경개선사업이 대한민국 어디서든 적용될 수 있는 정책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아람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