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한구 본부장 美 출장 직후 자리
삼성, SK, 현대차, LG 등 참석
|
대한상공회의소는 22일 서울 중구 상의회관에서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을 초청해 '대한상의 국제통상위원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자리는 최근 관세 협상 직후 혼란을 점검하고, 기업과 정부 간 소통 채널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여 본부장이 방미 일정을 마친 후 참석하면서 무게감이 더해졌다.
이날 회의에는 이계인 국제통상위원장(포스코인터내셔널 대표이사),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을 비롯해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SK, LG, 롯데, 한화, GS, HD현대, 대한항공, CJ, 두산 등 주요 기업 관계자가 참여했다.
LS, 효성중공업, 한국항공우주, 네이버 등도 함께해 조선·반도체·원전·방산·항공·AI 등 전략 산업 전반도 망라됐다.
여 본부장은 "7월 관세협상 타결과 8월 한미 정상회담 이후, 국익을 최우선 가치로 삼아 미국 정부와 세부 협의를 이어가고 있다"며 "보호무역주의 확산 속에서도 산업정책과 긴밀히 연계해 경제안보를 강화하고, 글로벌 사우스 등으로 수출 시장을 넓혀 기업의 기회를 키워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관세 피해기업에 대해 긴급 지원과 국내 수요 창출, 해외 판로 확대를 아우르는 종합대책을 9월 초에 이미 발표했고 현재 이행 중"이라며 "기업 현장의 의견을 반영해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지도록 정부와 민간이 함께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
이어 "최근 미국에서 발생한 한국 근로자 비자 관련 문제와 같이 예기치 못한 상황이 언제든 일어날 수 있는 것처럼 기업들은 긴장을 늦출 수 없다"며 "리스크를 기회로 바꾸는 힘은 기업들의 의지와 함께 정부의 든든한 지원에서 나오는 만큼, 정부가 기업의 목소리에 더욱 귀 기울이고, 정책에 충실히 반영해 주기를 당부드린다"고 강조했다.
참석 기업들은 구체적인 애로사항도 건의했다. 조선·원전 등 미국 내 공급망이 완전히 구축되지 않은 전략 산업의 경우, 한국 기업이 필수 공급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을 들어 관세 유예·면제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반도체와 같은 핵심 품목에 대한 관세 확대가 제조원가와 가격 경쟁력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수 있다며 정부의 적극적 협상을 요청했다.
비자 문제 역시 핵심 과제로 지적됐다. 한 기업 관계자는 "미국 진출 초기에는 전문 인력 파견이 필수적이지만, 기존 ESTA나 B1 비자로는 근무가 불가능하고 H-1B는 쿼터 제한과 절차 지연이 심각하다"며 "MASGA 프로젝트 등 전문 인력에 대해 별도 비자 신설과 발급 절차 개선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윤철민 대한상의 국제통상본부장은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만큼 대한상의가 기업 의견을 적극 전달하고 정부와 가교 역할을 하겠다"며 "오는 25일 열리는 '미국 진출 한국기업 HR 현지화 세미나' 등 실질적 지원 프로그램도 지속 마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