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 첫 사건 1호, 이번주 나온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22010012026

글자크기

닫기

윤서영 기자

승인 : 2025. 09. 22. 17:01

2개월간 조사 사건 중 처벌 가능한 사례 마무리
'원스트라이크 아웃제' 도입 따른 주가 조작 사례
주가조작근절 합동대응단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김민석 국무총리가 8일 여의도 KRX 사옥에서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한 현장 간담회를 마치고 주가조작근절 합동대응단 직원들을 격려하기 위해 걸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이번주 금융당국의 주가조작 관련 제재 사례 1호가 나올 전망이다. 지난 7월 출범한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이 약 2개월간 조사한 사건 중 가중 처벌이 가능한 사례가 마무리되면서다.

이재명 대통령이 자본시장 활성화를 목표로 "주가조작을 하면 패가망신한다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고 발언한 만큼, 합동대응단은 최근 금융당국 조직개편 이슈에도 차질없이 일정대로 첫 불공정거래 행위 사건 발표를 진행할 방침이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은 이번주 중 불공정거래 행위 관련 사건 1호를 발표한다. 해당 사건은 주가 조작 관련 내용으로, 앞서 조사에 착수한 4건 중 가장 빨리 마무리된 사건 내용인 것으로 전해진다. 이번 사건 1호는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도'를 도입한 것으로 합동대응단 출범 당시 예고한 즉시 집행할 수 있는 금전 및 비금전제재 수단을 동원한 첫 적발 사례다. 합동대응단의 조사를 거쳐 향후 자본시장조사심의위원회, 증권선물위원회 등에서 제재 절차도 밟도록 한다는 예정이다.

합동대응단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 등 세 기관이 참여한 조직이다. 합동대응단에선 최근 발생한 사건 중 4건을 조사 중이었는데, 우선 심의·조사 대상은 △불공정거래 전력자 △대주주 및 경영진의 불공정거래 사례 △SNS·허위보도를 악용하는 사례 등이었다. 회사 내부자의 미공개정보 이용 건이나 시세 조정 등 다양한 행위에 대한 불공정거래를 뜯어보고 있다는 설명이다.

세 기관이 참여한 조직인만큼, 합동대응단은 평균 15개월에서 최대 2년까지 걸렸던 심리 및 조사 과정을 6~7개월로 줄여 이달 중 첫 사례를 발표하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앞서 권대영 금융위 상임위원장은 합동대응단 현판식에서 "한 번 적발되면 범죄수익을 넘는 과징금으로 경제적 불이익을 부여하겠다"며 "주가 조작범의 주식 거래를 금지시켜 자본시장에서 퇴출하도록 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도' 첫 사례인 만큼 과징금 및 과태료 처분을 받은 불공정거래 행위자에 대한 인적사항도 공개할 수 있다. 다만, 검찰과의 협의 절차를 거쳐야 한다.

업계에선 최근 금융당국의 조직 해체 이슈 등으로 합동대응단 업무에 차질을 빚는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이에 대해 합동대응단 관계자는 "예정된 일정대로 차질없이 불공정거래 첫 사건 발표를 준비 중"이라며 "주가조작 관련 적발 사례로 이번주 이벤트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윤서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