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K, 보안 투자 축소 책임론도
|
롯데카드의 최대주주인 MBK파트너스는 2조원대의 몸값을 희망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악재들로 녹록지 않게 됐다. 시장에서는 MBK파트너스의 책임론까지 거론되고 있다. 롯데카드의 보안 투자 비중이 축소되고 IT임원 비중도 카드업권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기 때문이다. 롯데카드의 매각 시도가 실패로 돌아갈 가능성이 커졌다는 관측이 나온다.
22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롯데카드의 매각 작업이 중단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해킹 사태 여파로 매각을 추진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는 판단에서다.
앞서 MBK파트너스는 롯데카드의 매각 주관사로 UBS를 선정하고 매각을 추진해온 바 있다. 이번 매각 시도는 두 번째다. MBK파트너스는 2019년 롯데카드 지분 79.83%를 1조3810억원에 인수했으며, 2022년 한 차례 매각 시도에 나서기도 했다. 하지만 3조원대의 높은 몸값으로 매각이 무산됐다.
현재도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가맹점 수수료 인하 등으로 카드업황이 악화하면서 롯데카드도 실적이 부진하기 때문이다. 올해 상반기 롯데카드의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3.8% 감소한 416억원이다.
이번 해킹으로 인해 롯데카드의 수익성 악화, 신뢰도 하락 등이 불가피한 만큼 두 번째 매각 시도도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단기적으로는 카드 재발급, 고객들에 대한 피해보상,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른 과징금 등이 비용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란 관측이다. 한국신용평가는 롯데카드의 과징금 한도가 최대 800억원 수준이 될 것으로 봤다. 실제 부과되는 과징금은 한도보다 적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비용 부담을 피할 수 없다는 얘기다.
고객들이 집단 소송을 준비하고 있다는 점도 부담 요인이다. 향후 충당금 적립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한신평은 "최초 제시한 고객 보상안 이후에도 고객들의 요구에 따라 비용부담이 증가할 수 있다"며 "현재까지는 피해보상 신고가 없었으나, 입증이 되었을 경우 2차 피해까지 전액 보상하기로 한 만큼 추가 비용 발생 가능성도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앞으로 부과될 과징금 등을 반영해서 매각가를 낮춘다고 하더라도 인수자를 찾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미 잃어버린 신뢰는 되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한국기업평가는 "브랜드 이미지 저하에 따른 회원유치 감소로 수익기반이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롯데카드는 해킹 사태를 계기로 향후 5년 동안 1100억원의 정보보호 관련 투자를 집행하겠다고 밝혔다. 정보보호 예산 비중을 업계 최고 수준인 15%까지 끌어올려, 보안관제 체계를 구축, 24시간 실시간 통합보안 관제체계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개인 정보 유출이 현실화된 상황에서 뒷북 대응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MBK파트너스에 대한 책임론도 거론되고 있다. 롯데카드 ESG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12%였던 IT 예산 대비 정보보호 투자 비중은 2022년 10%, 2023년 8%로 줄어들었다. 또한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을 통해 받은 자료 '국내 주요 금융업권 IT 인력 현황'에 따르면 2025년 8월 말 기준 롯데카드는 IT임원 비중이 전체 45명 중 3명으로 7%로 카드업권 중 가장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MBK 측은 보도자료를 통해 매년 정보보안 및 IT 투자를 꾸준히 확대해 왔다고 해명했다. MBK 파트너스 관계자는 "IT와 보안, 거버넌스는 기업 가치와 고객 신뢰를 지키는 핵심 자산이라는 인식 아래, 지난 5년간 꾸준한 대규모 투자를 이어왔다"며 "일부에서 제기되는 관리 소홀 주장은 사실이 아니며, 앞으로도 롯데카드가 보안 체계를 더욱 강화해 나갈 수 있도록 다른 주주사들과 함께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