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리튬가 하락에 공매도까지…기죽은 이차전지株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23010012156

글자크기

닫기

김동민 기자

승인 : 2025. 09. 22. 17:45

리튬가 2년전比 54%↓… 적자폭 커져
엘앤에프 등 주가 한달 새 10% 하락
美 IRA 폐지로 전기차 수요 감소 전망
금리인하 수혜에 상쇄 가능성도 있어

국내 주식시장이 강세장을 이어가고 있지만, 에코프로·엘앤에프 등 이차전지 관련주들의 주가는 좀처럼 힘을 쓰지 못하고 있다. 이차전지 핵심 원자재인 리튬 가격이 반등하지 못하고 있고, 관련 기업들의 실적도 적자를 기록하고 있어서다.

시간이 지날수록 공매도 물량이 지속 유입되고 있는 점 또한 주가 하방을 키우고 있다. 공매도 비중 5%를 상회 하는 상장사는 총 6곳인데, 이중 절반이 이차전지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들이다. 시장에서 이들 기업의 주가 하락에 베팅하고 있다는 의미다.

업계에선 내달부터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이 폐지돼 전기차 수요도 위축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차전지 기업들 입장에선 실적에 한 층 더 부담이 생기게 되는 거다. 다만 미국이 금리인하를 단행하면서 신차 대출 이자 부담이 줄고, 이에 따라 전기차 수요도 커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IRA 폐지로 인한 악재를 상쇄할 수 있을 것이란 얘기다.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최근 한 달 동안(8월22일~9월22일) 이차전지 관련주인 에코프로·엘앤에프·엔켐 주가는 총 8.7%, 9.9%, 4.3% 하락했다. 코스피 등 국내 증시가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우상향하고 있는 상황과 비교하면 상반된 흐름이다.

이들 기업의 주가가 약세를 나타내고 있는 이유는 리튬 가격 때문이다. 리튬은 이차전지의 핵심 원자재로서 가격 등락에 따라 관련 기업들의 주가에 큰 영향을 끼친다. 일반적으로 리튬 가격이 하락했다는 건 전기차 수요 둔화로 공급 과잉 문제가 발생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중국의 감산 소식에 1kg당 86위안을 기록하며(8월19일) 연중 최고치를 경신했던 리튬 가격은 최근 71.8위안까지 내려앉았다. 호황기였던 2년 전(1kg당 155.5위안)과 비교해보면 53.8% 떨어진 수준이다. 최근 몇 년 동안 이차전지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들 전반의 주가가 부진할 수밖에 없는 주된 배경이다.

이중에서도 에코프로·엘앤에프·엔켐은 공매도 비중도 크다. 공매도는 주가가 떨어질 것을 예상할 때 시세차익을 노리는 투자 기법이다. 일반적으로 시장에선 공매도 비중이 높은 종목들의 경우, 향후 주가 하락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한다.

에코프로·엘앤에프·엔켐의 공매도 비중은 지난 17일 기준 각각 6.15%, 5.54%, 5.89% 수준이다. 전체 상장 기업들 중 공매도 비중이 5%를 상회하는 곳은 총 6곳(카카오페이·한미반도체·엘앤에프·에코프로·엔켐·다날)뿐이며, 이중 3곳이 이차전지 관련 기업이다.

공매도 물량이 이들 기업에 몰린 이유는 이차전지 업황 부진이 장기간 지속됨에 따라 실적이 크게 악화돼서다. 실제 에코프로·엘앤에프·엔켐은 지난해 각각 2954억원, 3807억원, 5712억원 순손실을 기록, 올해 역시 2분기 기준 380억원, 1126억원, 206억원 순손실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이달 30일부터는 그동안 전기차 구매 시 지급 받았던 보조금도 사라지게 된다. 미국의 IRA가 폐지되면서 인데, 이에 따라 향후 전기차 수요 감소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차전지 관련주에 대한 투자심리 역시 위축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안나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다음 달부터 미국 전기차 구매 보조금이 전면 폐지된다"며 "이는 3분기 선수요를 마지막으로 4분기부터는 미국 내 전기차 수요가 급격히 위축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미국이 금리인하에 나선 만큼, 낮은 대출 이자를 바탕으로 전기차 수요가 늘어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IRA 폐지로 우려되고 있는 전기차 수요 축소가 상쇄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김승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자동차·부품의 경우 오토론(금융기관 대출 자금으로 자동차를 구입하고, 대출 기간 동안 원금·이자를 상환하는 방식) 등으로 소비자 구매력이 개선되고, 실제 과거 금리인하 국면에서 판매량이 늘어난 사례도 있어 수혜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선 이 같은 전망에도 전기차 시장 수요 정체, 보조금 축소 등 여러 요인이 존재하기 때문에, 실제 상쇄 효과가 나타날 수 있을지는 두고 봐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김동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