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 금융감독원은 이찬진 금융감독원장 주재로 이항용 금융연구원장, 김세완 자본시장연구원장, 안철경 보험연구원장, 송원근 현대경제연구원장, 김원준 삼성글로벌리서치 소장, 정신동 KB경영연구소 소장, 박정훈 우리금융연소 대표이사와 함께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이찬진 원장은 금융권이 나가야할 장기적인 방향에 대한 연구기관의 적극적인 제언을 요청했다.
이 원장은 "우리 경제와 금융은 생산적 금융 확대와 고령화 대비 외에도 미국 관세 충격에 대비하면서 산업경쟁력을 제고해야 하고, 가계부채를 안정시키며 주택개발 자금을 원활히 공급해야 하는 어려움에 처해 있다"고 설명이다.
이어 "금융감독원은 대내외 위험요인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면서, 기업과 소비자가 원하는 경제적 목표를 안전하게 달성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할 것"이라며 "연구기관도 한국 경제·금융위 싱크탱크로서 장기적인 안목으로 금융원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달라"고 말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이항용 금융연구원장은 기후변화와 지방소멸 등과 관련해 금융회사의 적극적인 역할을, 김세완 자본시장연구원장은 코리아프리미엄 실현을 위해 기업지배구조 개선, 기업법제 선진화 등 자본시장 혁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안철경 보험연구원장은 투자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장기투자시장 조성과 규제의 재검토가 필요함을 밝혔으며, 송원근 현대경제연구원장은 생산적 금융 확대를 위해 금산분리 규제 완화를 통한 기업형 벤처캐피탈(CVC) 활성화, 위험가중자산(RWA) 가중치 조정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김원준 삼성글로벌리서치 소장은 은퇴금융 강화를 제시했으며, 박정훈 우리금융연수소 대표이사는 생산적 금융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정신동 KB경영연구소 소장은 금융당국은 제도 개선과 규제완화를 통해 금융회사를 지원하고 금융회사는 정책 목표에 부합하는 다양한 금융·비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