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의약품 생산 시설, CMO 계약도
서정진 회장 "주력시장 불확실성 해소"
|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이 트럼프 정부발(發) 관세 리스크 해소를 위해 '미국 일라이릴리 공장 인수' 승부수를 걸었다. 해당 공장은 셀트리온의 미국 생산기지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주목할 점은 공장 인수는 물론, 일라이릴리와의 CMO(의약품 위탁생산) 협력관계도 더욱 견고해졌다는 것이다. 인수와 동시에 공장 가동률을 올릴 수 있어 투자금 회수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관측된다.
미국 현지 생산시설 구축을 위해 투입될 자금은 총 1조4000억원 규모다. 인수 계약금 4600억원을 포함한 수치로, 향후 추가로 공장 증설까지 추진해 미국 생산체계를 탄탄히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투자금은 내년까지 생기는 3조원 규모의 상각전 영업이익(EBITDA)으로 마련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서 회장은 23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열고 "미국 법인 셀트리온USA가 지난주 토요일 일라이릴리와 본계약을 체결했고 인수자금은 연말쯤 지급될 것"이라며 "공장 절반은 CMO 계약에 따라 일라이릴리 제품을 생산하고 2027년부터 우리 제품을 생산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해당 공장은 미국 뉴저지주 브랜치버그(Branchburg)에 소재한 바이오의약품 생산시설로, 약 4만5000평 부지에 생산 시설, 물류창고, 기술지원동, 운영동 등 총 4개 건물이 갖춰진 대규모 캠퍼스다. 공장 증설을 위한 약 1만1000평 규모의 유휴 부지를 보유하고 있어 확장을 통해 향후 시장 수요 증가에 선제적으로 대응이 가능할 전망이다.
서 회장이 미국 공장 인수를 선제적으로 추진한 배경은 미국 관세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서 회장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이후 새로운 정권이 집권해도 관세 리스크가 계속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이에 대해 그는 "미국에 수출하는 기업들은 (관세 리스크는) 상수라고 봐야 한다"며 "선제적 공격경영을 하면 기회가 될 것이라고 봤고, 공장 인수로 추가 투자를 하면서 미국 CDMO 시장을 상당부분 확보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생산시설 투자금액은 총 1조4000억원이다. 일라이릴리 공장 인수 계약금 4600억원을 포함해 초기 운영비 7000억원이 투입되고, 향후 생산시설 증설 추진에 7000억원이 추가 투자될 계획이다.
서 회장은 자금 확보는 충분하다고 보고 있다. 셀트리온의 올해 매출 전망치는 4조6000억원 수준이다. 당초 예상치(4조5000억원)를 웃도는 수치다. 서 회장은 "합병에서 상각해야 할 것이 지난 9월 말 종료되면서 10월부터는 기존 수익성을 회복한다"며 "우리 회사의 가장 큰 장점은 EBITDA가 많다는 점"이라며 "올해 연간 1조7000억원 정도의 EBITDA가 나올 것이고, 내년에만 EBITA가 3조원으로 예측돼 현금흐름은 충분하다"고 밝혔다.
적극적인 주주환원도 다시 한번 공약했다. 서 회장은 "가급적 3분의 1은 주주환원에, 3분의 1을 R&D에, 나머지 3분의 1은 현금 유보나 시설 투자에 쓸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미국 공장 인수 발표에 셀트리온 주가는 강세를 보였다. 이날 셀트리온 종가는 18만36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8.57%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