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기도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가 세워져 있는 모습. /연합 |
한국에 대해서는 올해와 내년에 각각 1%, 2.2% 성장한다고 내다봤다. 3개월 전 예측치와 꼭 같은 수준이다. OECD는 "한국의 최근 회복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다"면서도 성장률을 조정하지는 않았다. 반면, 미국·중국·영국·캐나다·브라질·인도·튀르키예·멕시코·일본 등 다른 주요국의 전망치를 상승시켰다. 미국 1.6%→1.8%, 중국 4.7%→4.9%, 영국 1.3%→1.4%, 인도 6.3%→6.7% 등이다. 특히 일본에 대해서는 0.7%에서 1.1%로 0.4%포인트나 올렸다. 이에 따라 '잃어버린 30년'의 장기침체를 겪은 일본의 성장률 전망치가 한국(1.0%)보다 높아졌다.
한국개발연구원(KDI)과 한국은행 등이 추정하는 우리나라 잠재성장률(물가를 자극하지 않고 이룰 수 있는 최대 성장률)은 1%대 후반이다. 정부는 올해 내수 회복을 위해 13조9000억원 규모의 민생회복 지원금을 두 차례 투입한다. 그런데도 잠재성장률의 절반 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국제통화기금(IMF)도 비슷한 전망이다. IMF 한국미션단은 연례협의 결과 우리나라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0.8%에서 0.9%로 0.1%포인트 높였다. 정부와 한은의 공식 전망치(0.9%)와 동일한 수준으로 맞춘 것이다. 그러나 IMF의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1.8%로 OECD(2.2%)보다 상당히 낮다. 게다가 "(경제) 전망 불확실성이 높고 위험은 하방 리스크가 더 크다"고 했다.
OECD든 IMF든 국제기구가 우리 경제를 바라보는 시각은 국내 경제전문가들이 지적해 온 바와 다르지 않다. 성장 동력이 빠르게 약화되고 있지만 정부가 실효성 있게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정부가 말로는 '거미줄 규제'를 걷어내겠다고 하고선 노란봉투법과 중대재해처벌법 강화 등 기업 투자와 혁신 의욕을 꺾는 이율배반적 조치를 거듭하는 게 대표적인 사례라고 하겠다. IMF 한국미션단은 "잠재성장률을 높이기 위해 구조개혁을 가속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중소기업과 대기업 간 생산성 격차를 줄이고, 인공지능(AI) 대전환의 리스크를 관리하는 동시에 혁신과 AI 대전환의 이점을 활용하는 데 초점을 둬야 한다고 했다.
정부 발표문에서 사라진 '구조개혁'을 국제기구들은 끊임없이 주문하고 있다. 정부는 경각심을 갖고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