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전원 차단으로 백업데이터 활용 복구 필요
‘실시간 재난복구’ 백업 기능으로 데이터 소실 가능성은 낮아
|
이재용 국가정보자원관리원장은 27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아직 열기가 남아 있어 소방에서 안전상의 이유로 전면 출입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며 "열기가 빠진 뒤 진입해 서버를 재가동하고 손상 여부를 하나하나 점검해야 해 복구 시점을 지금 말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행정안전부(행안부) 등에 따르면 전날 작업자가 국정자원 5층 전산실 내에 있는 '무정전 전원장치(UPS)'용 리튬이온배터리 전원을 끈 후 약 40분이 지난 오후 8시 20분께 알 수 없는 이유로 배터리에서 불꽃이 튀며 화재가 발생했고, 화재 열기로 전산실 적정온도를 유지하는 항온항습장치가 작동을 멈추자 서버 등 장비 손상을 우려한 국정자원 측은 대전 본원 내 647개 시스템 전원을 모두 차단했다.
화재의 원인이 된 리튬이온배터리 화재는 한번 불이 나면 꺼지기 어렵고 불이 꺼진 것처럼 보이더라도 다시 살아날 수 있다. 또 배터리 내부 단락으로 온도가 급상승하는 '열폭주' 현상이 이어지면 온도가 순간적으로 섭씨 1000도까지 치솟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소방당국은 화재가 발생한 지 10시간이 지나서야 큰 불길을 잡을 수 있었고, 완진에도 시간이 다소 걸릴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놨다. 때문에 아직은 정확한 피해 현황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서버 전원 연결이 차단된 상황이어서 백업 데이터를 활용하는 복구 작업에도 난항이 예상된다. 특히 많은 시스템이 몰려있는 만큼 일부 시스템은 조기 복구되더라도 전체 정상화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다. 국정자원은 대전 본원과 광주·대구 분원을 합쳐 정부 업무서비스 기준 총 1600여개 정보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대전 본원에만 전체 국가 정보시스템의 3분의 1 이상이 몰려 있는 상태다.
다만 저장된 데이터는 실시간 재난복구(DR·Disaster recovery)가 되고 있어 소실 우려가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클라우드 업계에 따르면 국정자원 G-클라우드 존의 데이터 백업은 최대 4중화까지 진행되고 있어 화재로 서버가 상당 부분 소실돼 여기에 저장된 데이터가 일부 사라졌다고 해도 외부에 저장된 데이터로 복구할 수 있다.
행안부 관계자는 이날 브리핑에서 "대전·대구·광주 3개 센터로 이뤄진 국정자원 가운데 대전·광주는 재해복구 시스템이 일부 구축돼 있으나 최소한의 규모에 불과하고, 스토리지만 있거나 백업만 있는 경우도 있다"며 "시스템별로 조금씩 다르게 돼 있어 시스템별로 재해 복구 시스템을 가동할지 아니면 원시스템을 복구할 건지를 판단해 대응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정부는 일단 복구 작업에 착수하는 대로 국민 파급효과가 큰 1∼2등급 정보시스템부터 우선 복구를 시도할 방침이다. 국가 정보시스템은 이용자 수나 파급 효과 등을 따라 1∼4등급으로 분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