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화주택은 임대주택과 함께 사회복지시설·돌봄공간·공유오피스 등 지원시설을 결합하고, 멘토링·심리상담 등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선정된 사업에는 주택도시기금 출·융자 지원이 이뤄져 지역 맞춤형 공급이 가능하다.
이번 공모는 권역별 설명회를 거쳐 진행된다. △제안서 검토 △현장조사 △제안발표 및 평가위원회 심의를 거쳐 오는 12월 중 결과가 발표된다.
공모 유형은 △지역제안형 특화주택 △고령자 복지주택 △청년특화주택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 등 네 가지다.
지역제안형은 출산·귀농·귀촌 장려 등 지역 수요에 맞춰 입주자격과 거주기간을 설계할 수 있다.
고령자 복지주택은 65세 이상 무주택 고령자 대상 임대주택으로, 경로식당·건강상담실 등 복지시설을 갖춘다.
청년특화주택은 도심 역세권에 청년 선호 평형과 빌트인 가구를 반영해 대학생·미혼 청년에게 공급된다.
일자리연계형은 중소기업 근로자·창업가 등을 위해 공유오피스, 창업센터와 연계한다.
이기봉 국토부 주거복지정책관은 "특화주택을 통해 각 지역이 해당 지역의 수요와 실정에 맞는 주택을 공급할 수 있을 것"이라며 "추가적인 재정지원을 통해 건설비용 부담 완화가 가능한 만큼,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주택사업자의 적극적인 사업 참여와 협조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