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르포] “생애주기 따라 집구조 변경”…삼성물산 ‘넥스트 홈’ 실증공간 가보니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29010015338

글자크기

닫기

전원준 기자

승인 : 2025. 09. 29. 08:30

'넥스트 라멘구조' 적용…기둥 바깥쪽 배치로 공간감 확보
건식형 모듈로 구성된 바닥·욕실·벽체·가구로 조립
균등한 시공 품질 확보 및 층간소음 저감 효과 기대
신축 뿐 아니라 리모델링에도 일부 기능 적용
래미안 넥스트 홈 실증공간
삼성물산 건설부문이 경기 용인시 동백지구 일대에 조성한 '넥스트 홈' 실증공간 전경./전원준 기자
"우리가 꿈꾸는 미래의 집은 살아가는 공간에서 가치 있는 공간으로 변화합니다.지속 가능한 삶을 목표로 라이프 스타일에 맞춰 유연하게 진화하고 새로운 혁신 기술을 통해 사회와 조화롭게 연결되며 삶의 가치를 높이는 공간입니다."

지난 26일 오후 경기 용인시 동백지구에 위치한 삼성물산 건설부문(이하 삼성물산)의 '넥스트 홈' 실증공간의 문이 열렸다.

넥스트 홈은 삼성물산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넥스트 라멘 구조'와 '인필(In-Fill) 시스템'을 통해 △1인 가구 △학령기 자녀를 둔 젊은 부부 △노부부 등 거주자가 생활 양식에 따라 주거 공간을 자유롭게 디자인하고 변화할 수 있게 한 게 핵심이다. 인필 시스템은 크게 △넥스트 플로어(Next Floor) △넥스트 배스(Next Bath) △넥스트 월(Next Wall) △넥스트 퍼니처(Next Furniture) 등 크게 4가지로 구성됐다.

삼성물산
삼성물산 건설부문이 미래의 주거 모델로 제시한 '넥스트 홈'의 구성 중 하나인 '넥스트 라멘구조'. 수직 기둥에 수평 부재인 보를 더한 라멘구조를 기본으로 하면서도 세대 내부 기둥은 없앤 점이 특징이다./삼성물산 건설부문
기자가 안내자의 말에 따라 도착한 실증공간 3층에는 '싱글 라이프'를 상정해 '넥스트 홈' 기술을 적용한 전용면적 84㎡형 유니트가 마련돼 있었다. "지금 계신 곳은 1인 가구를 위한 맞춤형 공간입니다. 잠시 자유로운 싱글이 됐다고 생각하시고 체험해 보시죠."라는 안내자의 설명을 들으며 유니트 내부로 들어섰다.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 건 가구 내부에 기둥이 보이지 않는 구조였다. '넥스트 라멘'이라 불리는 신개념 평면은 가구 내부의 벽과 기둥을 없애고 대관과 기둥을 좌우로 배치해 공간감을 극대화하는 게 핵심이다. 벽체와 배관이 고정돼 있던 과거의 아파트 평면을 떠올리면, 확실히 낯선 느낌을 받았다.

'넥스트 플로어'는 일본 주택의 건식 바닥과 오피스 건물의 이중 바닥을 결합한 신기술이다. 배관을 하부 공간에 설치해 공간 활용도를 높였다. 건식 구조 특성상 습식 대비 온도 상승 속도가 빨라 난방 가동 시간 단축에 따른 에너지 효율 향상과 유지비용 절감 효과도 있다.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신공법도 적용됐다. EPS(발포 폴리스티렌) 완충재·경량기포 콘크리트·일반 바닥몰탈·마루 등으로 구성된 일반적인 바닥과 달리, 스프링을 내장해 층간소음 기준을 1등급 수준인 평균 33db(데시벨)로 낮췄다는 설명이다.

'넥스트 배스'는 OSC(탈현장공법·Off-Site Construction) 공법을 바탕으로 외부에서 사전 제작돼 품질 편차가 없고, 고급 마감재를 적용할 수 있다. 프레임부터 마감까지 일체형으로 제작하는 POD(포드) 욕실과, 패널로 제작해 현장에서 조립하는 시스템 욕실 등 두 가지 설치 방식이 있다. 스마트 조명과 스마트 글라스 같은 디지털 기술도 눈길을 끌었다. 외부 빛의 세기에 따라 자동으로 밝기가 조절되는 조명, 버튼 하나로 유리창 너머 시야를 차단하는 방식이다.

삼성물산 건설부문
삼성물산 건설부문이 경기 용인시 일대에 조성한 '넥스트 홈' 실증공간 유니트에 마련된 시스템 욕실 외창에 버튼 하나로 시야 차단이 가능한 '스마트 글라스' 시스템이 적용되기 전후 모습./전원준 기자
관람은 2층에 마련된 학령기 자녀를 둔 3~4인 가족을 위한 평형 유니트에서 지속됐다. 이 곳에선 '넥스트 월'과 '넥스트 퍼니처' 시연이 이뤄졌다. 넥스트 월은 바닥과 천장에 고정된 기존 벽체와 달리 자유롭게 이동·재배치가 가능하다. 벽체 마감재도 탈부착할 수 있어 거주자 취향에 따라 인테리어를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다.

가구 자체가 하나의 벽이 되는 넥스트 퍼니처는 자유롭게 공간을 분리·통합할 수 있는 기능성 가구다. 특수 모터를 활용한 전동식 모터가 적용됐다는 설명이다. 현장 안내자가 버튼을 누르자 커다란 장식장의 고정장치가 천장에서 분리됐다. 분리된 가구는 여성 한 명의 힘으로도 쉽게 이동시킬 수 있었다.

현장 관계자는 "타사의 경우 레일 방식으로 벽체를 움직이는 설계를 도입하기도 하지만, 삼성물산의 '넥스트 월' 및 '넥스트 퍼니처'는 정해진 경로 없이 거주자가 자유롭게 옮길 수 있다는 게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관림이 모두 끝난 이후에는 변동규 삼성물산 주택기술혁신팀 상무가 기자들과 질의응답을 진행했다.

우선 삼성물산은 이달 초 새로 선보인 사업 모델 '넥스트 리모델링' 적용 단지에도 무기둥 구조를 제외한 다른 기술을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변 상무는 "예컨대, 기존 습식 난방을 새로운 시스템으로 바꾸려면 바닥 구조까지 손대야 하지만, 넥스트 퍼니처나 넥스트 배스 같은 기술은 충분히 적용할 수 있다"며 "넥스트 리모델링 기술들은 기존 '넥스트 홈'과 동떨어진 것이 아니라, 서로 연계돼 발전하는 개념으로 이해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한 단지에 모든 기술을 적용하는 것은 공사비, 기술 등의 문제로 현실적으로 어렵지 않냐는 질문에는 "저희가 이번에 선보인 기술들은 각 단지에 적용할 수 있는 것들을 선보인 것이지, 꼭 모든 단지에 모든 기술을 도입하겠다는 의미는 아니다"라며 "최대한 선택지를 늘린 후 고객의 최종 선택에 맞게 시공하겠다는 의미"라고 했다.

상용화 시점과 시공비와 관련한 질문도 쏟아졌다. 변 상무는 "현재는 실증·샘플 제작 단계라 단가가 높게 보일 수 있지만, 제도가 뒷받침되고 시장이 활성화되면 대량생산 체계로 전환돼 비용이 크게 낮아질 것"이라며 "골조를 제외한 가구, 건식 바닥 등 인필 요소들은 예상보다 원가 상승 요인이 크지 않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구체적인 퍼센티지를 제시하기 조심스럽지만, 2~3년 내 본격 적용이 이뤄지면 현재 시장 제품과 비슷한 수준까지 단가가 안정될 것"이라고 설명을 더했다.

삼성물산은 기준공된 서울 서초구 '래미안 원펜타스' 게스트 하우스, 부산 '래미안 포레스티지' 경로당 등 부대 시설에 넥스트 홈 기술을 시범 적용해 수요자 반응을 검증 중이라는 설명이다. 기수주한 '방화6구역 재건축','잠실 래미안 아이파크', '한남4구역' 등은 물론, 수주전이 펼쳐질 압구정·성수 일대 사업지에도 기술 도입을 사업 조건으로 제안한다는 계획이다.
전원준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