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 일환으로 이날 오후 국토부는 서울에서 전문가 간담회를 열고 국토 균형성장, 공공건축 혁신, 한옥·목조건축 활성화 등 주요 정책 과제를 논의했다.
간담회에는 건축사 6인과 국가건축정책위원장, 건축계 3개 단체장(건축사협회·건축가협회·건축학회), 건축공간연구원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논의는 △지방 중소도시 활성화를 위한 도시건축 디자인 혁신 △도서관·미술관·주민센터 등 공공건축의 '국민행복공간' 업그레이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한옥·목조건축 지원 확대를 주제로 진행됐다.
또 간담회에서는 전국적으로 6657개소가 분포한 한옥·근대건축 등 건축공간문화자산을 활용해 사람이 머물고 싶은 지방도시를 만들자는 의견이 제시됐다.
공실 건축물을 재생해 문화·휴식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과 빈 건축물을 공공에 무상 제공할 경우 인센티브 부여 필요성도 논의됐다.
아울러 전문가은 공공건축 품질 제고를 위해 공정한 설계공모 시스템 확립이 중요성도 강조했다. 청년 건축사들의 참여 기회를 확대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건축공간문화자산 활용 확대, 빈 공간 재생, 한옥·목조건축 활성화를 정책으로 구체화할 계획"이라며 "특히 공공건축 설계공모의 공정성 강화를 위한 제도 개선을 연내 추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