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과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29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갖고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
백악관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과 네타냐후 총리가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회담이 진행되는 동안 이스라엘과 하마스가 종전 협정에 합의하면 적대 행위가 즉시 중단되고, 72시간 이내에 모든 인질을 석방하는 내용 등 20개 항으로 구성된 '트럼프 대통령의 가자 분쟁 종식을 위한 포괄적 계획'을 발표했다. '계획'은 이스라엘과 하마스가 합의할 경우 전쟁을 즉시 끝내고, 이스라엘군은 합의된 선까지 철수해 인질 석방을 준비할 것이며 이 기간 공중·포병 포격을 포함한 군사 작전이 중단되며 완전한 단계적 철수 조건이 충족될 때까지 전선은 동결 상태를 유지한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네타냐후 총리와 가진 공동 기자회견에서 "이 계획에 동의해 준 네타냐후 총리에게 감사하다"고 말했다. 이어 "하마스가 수락하면 내 제안은 모든 인질을 즉시 석방하되 72시간을 넘기지 않도록 하고 있다"며 "따라서 인질들은 즉시 돌아올 것이며, 이는 전쟁의 즉각적인 종식을 의미한다"고 평가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하마스가 '평화구상'에 아직 동의하지 않았음을 인정하면서도 "하마스도 이 일을 실현하고 싶어 한다고 듣고 있는데, 이는 좋은 일"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하마스가 동의하지 않을 경우 이스라엘이 계속 싸울 수 있도록 허용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네타냐후 총리는"하마스가 (트럼프) 대통령의 계획을 거부하거나, 표면상으로 수락한 뒤 실질적으론 모든 수단을 동원해 방해한다면 이스라엘이 직접 일을 마무리할 것"이라며 "이는 쉬운 방법으로든, 어려운 방법으로든 이뤄질 것이고, 반드시 실행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하마스의 수용 여부가 난제로 남아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평화구상'과 관련, 분석가들은 가자지구 통제 불가, 터널 등 인프라 파괴 등 하마스가 수용하기 어려울 수 있는 항목들이 포함돼 있다고 평가한다고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이 전했다. 한 하마스 관리는 로이터통신에 "하마스는 아직 공식적으로 계획을 접수하지 못했으며 언론 보도를 넘어선 내용은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