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현장 안전 강화·해외 먹거리 마중물”…건설업 살리기 나선 공적 조직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02010001198

글자크기

닫기

김다빈 기자

승인 : 2025. 10. 04. 11:00

대한건설협회, 노동·안전 정책 간담회서 제도 개선 건의
국토부·고용노동부, 외국인 근로자 대상 다국어 안전표지 보급
해외건설협회·건설공제조합, 글로벌 수주 경쟁력 지원
이미지
한 건설현장의 모습./연합뉴스
최근 정부 부처와 공적 협회·조합이 건설업계 활성화를 위한 지원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침체한 부동산·건설 경기로 업계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이들이 '마중물' 역할을 자처하며 현장 안전 강화와 해외 수주 확대에 적극 나서는 모습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건설협회는 지난달 30일 서울 건설회관에서 안호영 국회 환경노동위원장과 노동·안전 정책 간담회를 개최했다. 협회는 △사망사고 발생 시 행정처분·과징금 기준의 합리화 △'노란봉투법' 후속 지침에 건설업 특수성 반영 △청년 인력 유입을 위한 정부 지원 확대 등을 건의했다. 한승구 대한건설협회 회장은 "발주 단계에서 적정 공사비와 공사 기간을 보장하는 제도 개선이 병행돼야 근본적인 안전사고 예방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정부 부처도 직접적인 현장 안전 강화에 나섰다. 국토교통부와 고용노동부는 외국인 근로자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 다국어 안전표지를 전국 건설 현장에 배포했다. 이번에 제작된 안전표지는 한국어에 서툰 외국인 노동자를 위해 17개국 언어와 픽토그램을 적용했으며, 추락·화재·질식 등 주요 재해 유형과 10대 안전 수칙을 담고 있다. 출입구, 식당, 휴게실 등 외국인 근로자가 쉽게 접할 수 있는 공간에 설치하도록 안내해 실효성을 높였으며, 향후 동영상·포스터 등 시각 자료도 추가로 개발할 계획이다.

해외 진출 지원도 강화되고 있다. 해외건설협회는 최근 '융복합 K-City 플랫폼 K-Culture 간담회'를 열고 건설·엔지니어링 기업과 문화·예술, IT·게임 등 다양한 산업 간 협업 모델을 논의했다. 삼성전자, CJ올리브네트웍스, 대우건설, 해안건축 등 40여 개 기업과 기관이 참여해 K-컬처를 접목한 도시개발 모델을 모색했으며, 협회는 이를 통해 한국형 'K-City' 모델이 해외 시장에서 새로운 기회를 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건설공제조합도 국토부 주최 '글로벌 인프라 협력 콘퍼런스(GICC 2025)'에 참가해 국내 건설사의 해외 수주 경쟁력 제고를 지원했다. 조합은 우크라이나, 베트남, 아프리카 주요국 발주처와 1대 1 미팅을 진행하며 보증 제공 방안을 협의하고, 해외 보증 실적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적극 홍보했다. 매년 2조원 규모의 해외 보증을 90여 개국에 공급해 온 경험을 바탕으로 해외 사업 리스크 완화에 더욱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이처럼 정부와 공적 협회·조합이 전방위 지원에 나서는 배경에는 국내 건설사가 직면한 복합적 위기 요인이 자리한다는 분석이다. 고금리 기조와 부동산 경기 위축으로 분양 성적이 부진한 데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으로 안전 관리 부담이 가중된 상황이다. 여기에 해외 시장에서도 글로벌 경쟁이 심화하며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제도 개선, 안전 인프라 보강, 해외 수주 경쟁력 확보를 동시에 추진하는 공적 지원의 필요성이 커진 것이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공적 기관들이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지원을 늘려주면 기업들이 위기 극복에 집중할 수 있다"며 "지금의 마중물이 향후 건설업계 회복의 본격적인 동력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다빈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