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글로벌 반도체 스타트업 투자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15∼2025년 중국의 반도체 스타트업 투자액은 302억5000만 달러다. 이는 글로벌 반도체 스타트업 투자액(571억9000만 달러)의 52.9%다. 투자 라운드 건수는 1130건으로 38.2%를 기록했다.
중국은 반도체 스타트업당 평균 투자액이 6억7100만 달러로 가장 높았다. 미국은 반도체 스타트업 투자 687건(23.2%), 투자액 113억9000만 달러(19.9%)로 2위였고 우리나라는 105건(3.5%), 10억1000만 달러(1.8%)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벤처 캐피털의 투자액이 비공개인 경우가 많아 실제 투자 규모는 이보다 클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투자금 회수(엑시트) 성공률에서는 미국이 248개 기업 중 13개(5.24%)가 성공하며 최고 수준을 기록했고 한국은 3.7%, 중국은 1.72%로 나타났다.
글로벌 반도체 스타트업은 2015년부터 올해까지 1342개가 설립됐는데, 중국이 640개(47.7%)로 가장 많았고 미국이 248개(18.5%)로 뒤를 이었다. 한국은 54개로 전체 4%에 머물렀다.
보고서는 중국이 반도체 공급망 자립화 전략으로 반도체 제조 인프라 구축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중국 정부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급격히 위축된 민간 벤처 캐피털 투자 공백을 정책 자금으로 보완하며 반도체 육성 전략을 지속했다.
한편 한국은 1억6200만 달러를 AI 가속기 및 반도체 IP 설계 분야에 투자했고 리벨리온, 세미파이브 등 반도체 스타트업을 통해 기존의 메모리 제조 중심 생태계에서 AI 반도체로 전략적 확장을 모색 중이다.
보고서는 "한국 기업 가운데 투자 상위 100대에 포함된 곳은 4곳에 불과해 글로벌 영향력은 제한적이나 AI 반도체 설계나 IP 개발과 같은 특정 분야에서 차별화된 강점을 보인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