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역할 강화해 맞춤 설계 필요
재정 압박은 숙제…지역 불균형 우려
|
8일 보건복지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최근 노인적합형 노인일자리 신규 직무 8개를 선정했다. 올해 신규 직무로는 △고독사 예방 게이트키퍼 △보조기기 관리원 △시니어 점자 도우미 등 8개다.
정부는 2019년부터 노인의 역량과 경험을 활용하기에 적합하고 기존 노인일자리와 차별화된 가치를 창출하는 노인일자리를 신규 직무로 선정해오고 있다. 현재까지 총 70개의 신규 직무를 전국에 보급했다.
이 직무들은 지역 복지기관과 연계해 고위험군 발굴, 보조기기 위생 관리, 장애인 지원 등 사회적 파급효과가 크다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복지부는 내년부터 전국으로 확대·보급할 예정이다.
앞서 정부는 노인일자리 확대를 보건복지 국정과제와 연결하고 추진중이다. △돌봄 국가책임 강화 △지역·필수·공공의료 확충 △정신건강 관리체계 강화 △AI 기반 복지·돌봄 혁신 등이 대표적이다.
한국노인인력개발원에 따르면 노인일자리는 2024년 100만개를 처음 돌파한 이후 올해 109만8000개, 내년에는 115만2000개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정부는 2030년까지 130만개 창출을 목표로 삼았다.
실제로 노인일자리 참여 의향은 2014년 18.2%에서 2023년 22.5%로 증가했다. 특히 여성, 70~85세 연령대, 저학력, 농어촌 지역 노인의 참여율이 높아 특정 집단에 특화된 일자리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문제는 노인일자리 확대는 지방 재정에 큰 압박으로 작용한다는 점이다. 현재 국비가 30~50%를 부담하고, 나머지는 광역·기초지자체가 분담하는 구조다. 하지만 기초지자체 재정자립도가 2042년까지 25% 이상 하락할 것으로 전망돼, 지역 간 불균형 심화가 우려된다.
전문가들은 지역별 수요 기반 정책 설계와 더불어 지자체 간 행정통합, 자원 재분배 등 구조적 개편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또한 수행기관 담당자의 전문성 확보, 인건비 차등 지급 등 운영 인력 처우 개선도 뒷받침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배재윤 한국노인인력개발원 부연구위원은 보고서를 통해 "앞으로 노인일자리사업은 단순한 경제적 지원을 넘어 건강, 교육, 여가와 결합될 수 있도록 통합적인 지원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며 "특히 활동적 노화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강화하고, 노인일자리사업을 통해 지역사회 내 노인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