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웨이 노벨위원회 “그런 것에 휘둘릴 일 정말 없다”
|
8일(현지시간) 미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익명의 소식통 3명을 인용해 백악관이 오는 26~28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프르에서 열리는 아세안 정상회의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태국-캄보디아 평화협정 서명식을 주재할 것을 정상회의 참석 조건으로 제시했다고 보도했다.
또 서명식에는 중국 정부 측 인사들이 참석하지 못하게 해달라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도 트럼프 대통령이 정상회의와 별도로 평화협정 서명식을 요구했다고 외교 당국자와 말레이시아 정부 관계자 등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SCMP는 소식통을 인용해 "그것(평화협정 서명식)이 트럼프 대통령이 쿠알라룸푸르를 방문하는 이유 중 하나"라고 전했다.
서명식이 성사되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월 하순 닷새간 43명의 사망자를 낳은 태국과 캄보디아 간 무력 충돌을 끝내는 데 자신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고 국제적으로 홍보할 기회를 갖게 된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양국에 대해 무역 협상 중단을 카드로 휴전을 압박했다.
캄보디아 정부도 지난 8월 트럼프 대통령의 중재로 휴전이 성사됐다며 그를 노벨평화상 후보로 추천했다.
하지만 태국과 캄보디아는 아세안 의장국인 말레이시아가 주도한 중재로 7월 말 휴전한 데 이어 8월 초순 휴전 지속 합의 내용을 담은 의사록을 서명한 바 있다.
이는 백악관이 사실상 휴전협정이 체결되고 트럼프 대통령이 주인공인 '사진 찍기'용 행사를 다시 하자고 요구하는 셈이라는 풀이다.
이와 관련해 미국 측 소식통은 "(관련)논의가 진행 중이지만, 말레이시아 정부는 어려운 위치에 있다"고 밝혔다.
아세안 측 소식통은 "(서명식이) 잠재적으로 성사될 가능성이 있지만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며 "태국이 동의할 수 있는지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한 백악관 고위 관계자는 "대통령이 평화협정 협상을 하고 있다"면서도 "이는 정상회의 참석 조건으로 확인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태국-캄보디아 평화협정 서명식은 오는 10일 발표 예정인 올해 노벨평화상 수상자 선정에는 영향이 없을 전망이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들어 전 세계에서 7개의 전쟁이 자신의 평화 중재로 종식됐다고 주장하며 노벨평화상 수상 의지를 거듭해 밝힌 바 있다.
지난달 30일 전군 지휘관 회의 연설에선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노벨평화상 수상 가능성에 관해 "그들은 아무것도 안 한 사람에게 그것을 줄 것"이라며 "그것은 우리나라에 큰 모욕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나라(미국)가 (노벨평화상을) 받길 원한다"고 덧붙였다.
반면 노벨평화상을 시상하는 노르웨이 노벨위원회는 지난달 중순 트럼프 대통령의 수상 의지에 대해 "(수상자 선정) 논의에서 그런 것에 휘둘릴 일은 정말 없다"며 "위원회는 개별 후보를 각자 자질에 따라 검토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