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일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한 김 회장은 "홈플러스 임직원과 이해관계자들을 위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며 "국민께 심려를 끼쳐드려 죄송하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그동안 해외 일정을 이유로 출석 요구에 응하지 않다가 지난 5월 검찰이 출국 정지 조치를 내렸고, 이후 처음으로 공개 석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이날 여야 의원들은 홈플러스 사태와 투자 기업 관리 부실 문제를 집중 질의했다. 이강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MBK는 고용이나 지역사회 지원에는 미흡하면서 수익 구조에만 너무 연연한다"며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기대하는 것이 무리냐"고 비판했다. 이에 김 회장은 "의원님 말씀을 잘 새겨듣겠다"고 짧게 답했다.
다만 홈플러스의 현금성 자산을 선납금으로 사용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제가 관여하는 부분이 아니라 자세한 내용을 말씀드리기 어렵다"며 선을 그었다.
사재 출연 등 책임 이행에 대해서는 "지난 5월 1000억원을 냈고, 7월에도 1500억원 보증을 섰다"며 "지난 9월 추가로 2000억원을 현금 증여하기로 약속해 모두 5000억원 규모"라고 밝혔다.
또 이 의원은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정산대금 미지급 즉각 지급하고 이자보전 확실히 약속했으면 좋겠다"며 "입점업체 피해보상을 국민 앞에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광일 MBK파트너스 부회장은 "회생절차 이후에 소상공인 회생채권을 전액 변제했다"며 "현재 대기업 회생채권과 금융채권자가 남아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 부분은 회생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해 변제하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홈플러스는 지난 2일 기업회생 절차에 들어가면서 새로운 인수자를 찾기 위해 공개경쟁 입찰을 공고했다.
이날 김남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처음부터 홈플러스 공개입찰했어야 했다"며 "우선협상대상자도 없는데 시간 질질 끌다 청산절차 계획한 거 아니냐"고 묻자 김 회장은 "인수합병 과정이라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