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 범죄지역 '여행경보 격상'도 검토
李 "가용자원 총동원해 신속 송환해야"
|
이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이 정부의 가장 큰 책임"이라고 강조하며 '국민 안전 확보 가용 방안 즉시 실행', '양국 치안 당국의 상시적 공조 구축' 등을 주문했다.
이 대통령은 "유사 피해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 범죄 피해 우려 지역에 대한 여행제한 강화도 서두를 필요가 있다"며 "국민들이 재외공관에 도움 요청하면 즉시, 상시 대응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 정비 또 인력 예산 편성에도 만전을 기해주길 바란다"고 지시했다.
이어 "발표된 자료들을 보면 각국에서 체포된 사람들이 많은데 우리나라는 5~6번째쯤 되는 것 같다. 숫자가 적지 않은 것 같다"며 "가용 자원을 총동원해서 신속하게 정확하게 확실하게 대응해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비공개 회의에서 외교부, 법무부, 경찰청 등으로부터 캄보디아 취업사기 감금피해 대응현황과 조치 등을 보고받은 후 "국민들께 캄보디아 사태 관련 양상이나 실태 등 현황을 정확하게 설명하는 게 필요하다"며 관련 부처에 조치를 당부했다고 김남준 대통령실 대변인이 브리핑으로 전했다.
외교부는 이날 캄보디아에 입국했다가 현재 안전이 확인되지 않는 한국인은 80여 명(8월 기준)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정부는 15일 김진아 외교부 2차관을 단장으로 경찰청, 국가정보원 등이 참여하는 '정부합동 대응팀'을 캄보디아 현지에 파견한다.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캄보디아 내 주요 범죄 지역에 대한 여행 경보 격상을 검토하고, 경찰청은 아세안 국가 내에서 발생하는 우리 국민의 납치·감금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국제 공조협의체를 출범시켜 합동작전을 전개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국무회의에서는 관계부처의 협력을 통해 캄보디아 범죄 피해규모와 원인을 신속·정확하게 분석하는 한편 이달 중 대국민 특별신고 기간을 운영해 피해 사례 누락을 최소화한다는 계획도 확정했다고 김 대변인은 전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12·3 비상계엄'에 연루됐거나 연루 의혹이 제기된 인물들을 군 승진에서 배제할 것을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비상 계엄 가담이) 확인되면 당연히 (승진에서) 배제할 수 있고, 승진 후라도 취소하면 되는 것"이라며, 안규백 국방부 장관에게 "잘 골라내시라"고 지시했다.